후한의 직위체계 및 설명
{승상부} 승상(상국) ┃ 녹상서사 ┏━━━╋━━━┓ 태위 사도 사공
{군 부} 대장군 ┃ 태위 ┏━━┳━━┳━━━━╋━━━━┳━━━━━━┓ 태상 광록훈 위위 표사대장군 정사대장군 거기장군 ┃ ┃ ┗━━━━╋━━━━━━┛ 상장군 도위 좌 , 우 장군 ┃ 아문 장군 ┃ 편장군 ┃ 중랑장 ┃ 교 위
{외교부} 사도 ┃ ┏━━━━━╋━━━━━┓ 대홍려 태복 연위 ┃ ┗━━┳━━┛ 소홍려 이무감찰관 (시 중) ┃ 감찰관
{내정부} 사공 ┏━━━━━╋━━━━━┓ 종정 대사농 소부 ┃ ┃ 호부상서 식료총감
{병기부 , 근위대} 집금오 ┏━━━━╋━━━━┓ 무고령 고공령 사금도위 ┗━━┳━┛ 금위대
{참모부} 녹상서사 ┏━━━━┻━━━━┓ 상서령 군사 ┃ ┃ 상서 부군사 ┗━━━━┳━━━━┛ 광록대부
[승상부] 승 상 : 양무관의 최고직.황제를 보필하며 심복으로 활동.한 나라에서 가장 뛰어난 인물이 맡았던 직위로 모반의 주체이거나,어줍잖은 황제를 갈아엎는 역활을 수행한 적이 많았다 한다,.
녹상서사 : 참모부의 책임자이자 뛰어난 언변,책략을 소유한 인물이 임명되었다.나라의 모든 군대 를 통솔하는 직책을 겸임하는 경우가 많았고 후한 시대의 헌제시절에는 조조가 겸임해 거의 승상이 독점하여 차지하고 군대를 통솔했다.
태 위 : 군부의 실질적인 책임자.그러나 대장군보다는 하급직.군부직위중 군사권을 갖지 못한 유일한 직책.구사권을 갖기위해 정사대장군,표사대장군을 겸임.
사 공 : 내정부의 책임자로 국정을 보살폈다.황제의 잘못을 그자리에서 꾸짖을 정도로 담력이 세고 내정에 능통한 인물이 맡았으며,황제의 친족내지는 외척이 차지했다.후한 시대 이 직책이 공석으로 비어있었다.
사 도 : 외교부의 책임자.나라의 외교를 책임지고 적국과 동맹국을 구분해 황제에게 보고했고 외교에 관련된 상소를 황제께 직접 올렸다.
[군부] 대 장 군 : 군의 총 책임자.대도독의 이명.보통은 임시직으로 한명이 죽을때 까지 임하는 직책. 외적의 침입이나 반란이 일어날 경우 발생하며,종신직이다.총 10명이 임명가능하며 실제로 송나라 시절 금의 침입에 대비하여 10명의 대장군이 생겨나기도 했다.
태 위 : 승상부의 태위.
태 상 : 승상,태위의 오른팔과 같은 심복.군사에 능하거나 무예가 출중한 인물이 임명되었다. 전장을 보는 눈이 넓고 적진을 헤아릴줄 아는 능력이 필수.
광 록 훈 : 천자의 근위대장으로 어림군을 지휘하는 실질적인 황제의 최측근 심복. 보통은 집금오로 시작하나 군부에 편입되어 정사에 관여하며 큰 영향력 발휘.
위 위 : 군의 편성 책임을 맡은 직책.EX)100만의 군사를 어떤식으로 진형을 짜서 배치하여 적의 군사를 막을지,어떻게 공격할지등을 통해 군의 영향력 행사.대장군 다음가는 군력을 소유.
표사대장군 : 표기장군의 이명.군력을 행사함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황제의 명령없이 군대를 이동시킬수 있는 직책으로 태위가 겸임하는 경우가 많았고,보통은 4명이 임명. (3명은 황족,1명 태위 이런식..)
정사대장군 : 정벌을 성공한 장수에게 주어지는 명예직.정서대장군,정남대장군,정북대장군, 정동대장군을 합쳐 정사대장군이라 부른다.하지만 군력에 대한 행사권은 갖지못했고 그냥 사병들의 존경과 백성들의 칭송만 들었다..
상 장군 : 보통 평사장군(평동,평서,평남,평북)의 일종.평사장군은 삼국시대 직위로 반란 토벌의 토포대장의 역활을 수행하며 외교부의 감찰관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감찰관이 갖지 못한 군사력을 보충해 주었다.
도 위 : 보통 장군이라 부르는 직위.흔히 알듯 군주나 총사령관을 따라 전투에 참가하며 격전에 활약한다.
좌 장군 : 우장군과 함께 군의 좌 우 날개를 맡는 직책.삼진공격법의 진책에서 맹활약이 가능 대장군의 심복이 임명되었으며 역시 종신직위.10명의 대장군이 각자 임명 가능.
우 장군 : 좌장군과 함께 군의 좌 우 날개를 맡는 직책.삼진공격법의 진책에서 맹활약이 가능 대장군의 심복이 임명되었으며 역시 종신직위.10명의 대장군이 각자 임명 가능.
아문장군 : 금문호위를 담당하는 장군이라는 뜻.하지만 금문 방위를 집금오에 맡기고 수도 외곽의 경비나 수도에서 일어난 역모등을 수색하는 직책.
편장군 : 장군을 따라다니며 부장의 직책을 받고 활약하여 공을 세우면 승진하는 장군이지만 장군이 아닌 직위(졸병하고 다를바 없다함)
중랑장 : 지방군의 편장군 쯤으로 생각하세요..
교 위 : 요즘 군대로 치면 상병.군대에서 경험이 많은 졸병에게 내려진 명예직.하지만 삼국시대에 는 직책이 상승하여 장군과 동등한 대우를 받았다.
[외교부] 사도 : 승상부의 사도와 동일.
대 홍 려 : 소홍려들의 대표급 직책.정확한 직위가 아니라 특출난 인재가 있으며 소홍려들끼리 황제에게 천거하면 만들어지는 직책으로 세습 가능.동맹국에 사절로 파견되는 태복이 지니는 문서를 작성하였다.
소 홍 려 : 보통의 문서를 다루는 직책으로 외교부의 상급직위중 하나로 지방의 감찰관들에게 통보를 하고 칙사로 파견되는 직책.(파견될 확률이 만분의 1이라나..ㅡㅡ)숫자의 제한이 없는 직책.세습 가능.
태 복 : 동맹국에 사절로 파견되는 형식적인 직책.언변에 능하고,예경에 통달한 인물이 맡았다. 명신의 숫자가 적은 동맹국 소국의 황제들에게는 스카웃 대상 1위.
연 위 : 적국에 파견되는 권고 내지는 협박의 사절.담력이세고 개인적인 무예가 받쳐줘야 했다. 사서삼경에 통달하고 언변에 능한 인물이 맡았다.(내가 보기에 죽기 딱좋은 직위다..)
이무감찰관 : 아국과 적국의 백성들을 돌아보는 직책으로 적군을 만나도 적군은 이무의 깃발을 단 마차는 공격하지 않는 것을 예라고 함.타국의 우수한 정책이나 군사제도를 보고서 나라에 필요한 정책을 제시하는 직책으로 암살이 잦았다.
감찰관 : 자국을 돌아다니며 한 지방에 머무는 직책.숫자에 제한이 없고 태수들에게는 공포의 대상. 소문을 조사하여 각 지방 태수의 죄를 물을수 있는 직위로 조선의 암행어사급.
[내정부] 사 공 : 승상부의 사공과 동일.
종 정 : 수도의 경비를 담당하며 수도의 전투시설을 확충하는 직위.수도가 국경지대인 국가일수록 발언권이 강했다.
대 사 농 : 지방의 성을 순시하며 무너지거나 헐어진 성을 복구하고 민심을 살피는 직책. 보통 재임 기간이 1년을 넘지 못함.적국이나 반란군에 암살당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소 부 : 내정의 기록을 살피는 직책으로 조선시대 승정.
호 부 상 서 : 인구수를 세서 세금을 메기는 직책.
식 료 총 감 : 군대에 복무하며 적지에서 식량조달을 책임졌다,실패시 참형되었다.
|
.
'Study > Three Kingdoms Of Chi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도 대전 (0) | 2008.12.01 |
---|---|
적벽대전 [赤壁大戰] (0) | 2008.12.01 |
삼국지 직위표입니다(자작) (0) | 2008.12.01 |
삼국시대 관직 (0) | 2008.12.01 |
성도 (0) | 2008.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