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뿌리 - 가시집
가시집
'가시집'에서 '가시'는 '아내' 또는 '여자'를 뜻하는 말이다.
'가시집'은 '아내의 집'이란 말이다.
'가시'는 본래 '꽃'의 옛날말이다.
옛날에 화랑을 '가시나'라고 하였다.
화랑은 처음에 처녀로 조직하다가, 나중에는 '처녀'의 차림을 한 총각을 중심으로
조직되었기 때문에 처녀 아이를 '가시나'라고 부르게 되었다.
'가시나'의 이두식 표현인 '화랑'→
(화낭花娘. 화랑花郞:'낭娘'은 처음에 처녀를 나타내기 위해서 쓴 것이고.
화랑이 처녀 차림을 한 남자로 되면서 낭娘을 랑郞으로 고쳐 쓰게 되었다)
에서의 '화花'는 '꽃'의 뜻으로 그 옛날말인 '가시'에 대한 뜻 옮김이며,
랑(娘,郞)은 '나'에 대한 소리옮김이다.
'가시나'에서의 '나'는 무리를 뜻하는 '네'의 옛 형태이다.
곧 '가시나'는 '꽃들'이라는 뜻이다.
함경도 사투리에서는 처녀를 뜻하는 말인 '가시나', '간다'(가시나→갓나→간나)가 쓰이고 있다.
'꽃'의 옛날말인 '가시'는 그후에 아내를 뜻하는 말로 되었다.
'가시'는 '아내'의 뜻으로 15~16세기까지만 해도 널리 쓰이었으나
17세기 이후의 국문책에는 잘 쓰이지 않고,
'아내' 또는 '처'로 교체되었다.
'Life & Culture > Common Sen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 A/S 총집합 ^ (0) | 2010.05.25 |
---|---|
[스크랩] 우리의 등대 (0) | 2010.04.13 |
이런 사실을 아시나요? (0) | 2010.03.10 |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 (0) | 2010.03.10 |
해피 발렌타인 데이 ... (0) | 2010.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