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D-SLR은 크고 무겁다는 말이 무색하게 할 만한 새로운 시스템이 발표되었다. 올림푸스와 마츠시타 전기산업 주식회사(파나소닉)는 포서즈 바디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을 만들었다. D-SLR에도 콤팩트 화가 가속화 되는 지금의 트랜드에 맞춰 제때 제대로 개발하게 된 것. 이미 포서즈는 그러한 동향을 가장 잘 따라왔었다. 또한, D-SLR에서 콤팩트 디카처럼 LCD를 보고 촬영하는 컨트라스트 AF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했으며, 렌즈의 콤팩트 화에 가장 앞장서기도 했다. 이번에 선보인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은 디지털 일안 레플렉스 카메라를 대폭으로 소형 경량화 할 수 있는 것으로 마운트와 포서즈 센서와의 거리를 1/2로 축소하였으며, 마운트 지름을 기존보다 6mm축소, 그리고 마운트 접점 수를 9점에서 11점으로 늘리게 된다. 센서 크기는 그대로며, 어댑터를 이용하여 기존의 포서즈 렌즈도 그대로 사용 할 수 있다. 향후 두 회사는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에 맞는 제품들을 본격적으로 개발 추진할 예정이다. 올림푸스 역시 콤팩트 바디로 호평받은 E-400보다 작은 카메라 바디와 교환 렌즈, 그리고 관련 액세서리 들을 꾸준히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무엇보다 바디가 훨씬 얇아지며, 렌즈 또한 그에 맞춰 소형화 되어 지금보다 훨씬 작은 포서즈 바디가 되고, 콤팩트 디카 처럼 액정을 보면서 촬영하는 컨트라스트 AF의 성능이 상당히 중요하게 작용할 것 같다.
파나소닉 루믹스 DMC G1
일본 파나소닉은 마이크로 포서즈 규격의 첫 번째 라인업 모델은 루믹스 DMC-G1을 표준 줌 렌즈 루믹스 G 바리오 14 ~ 45mm를 포함하는 렌즈 킷 DMC-G1K, 여기에 루믹스 G 바리오 45 ~ 200mm를 추가한 더블 줌 킷 DMC-G1W이다. 파나소닉 루믹스 DMC-G1은 마이크로 포서즈 규격으로 설계된 렌즈 교환식 디지털카메라이다. 전자식 뷰 파인더와 액정 모니터를 통해 렌즈의 화상을 라이브 뷰로 확인하는 점과 기존 포서즈보다 더욱 소형 경량화를 추구하는 설계 시스템으로 대중성의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독특한 라인 업으로 풀이할 수 있다. 루믹스 DMC-G1은 올림푸스와 파나소닉이 지난 8월 5일 제안한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규격으로 설계한 첫번째 모델이다.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은 기존 포서즈 시스템 규격의 광경로를 단축하고 렌즈 마운트 외관을 작게 설계해 렌즈 교환식 디지털카메라중 가장 가벼운 부피와 무게를 구현했다. 또한, 블랙컬러 외에 레드, 블루 색상으로 다변화를 꾀한 점이 이채롭다.
루믹스 DMC-G1은 내부에 반사거울을 사용하지 않고 액정 모니터와 전자식 뷰파인더를 통해 풀타임 라이브뷰로 화상을 확인한다. 이러한 구조상 차이로 인해 현재 파나소닉에서는 '일안반사식'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번들용 렌즈는 두 가지를 준비했다. 두 가지 모두 일반 DSLR 렌즈보다 작고 가볍게 제작했고, 내부에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갖추고 있다. 본체와 렌즈가 작아졌기 때문에 기존 포서즈 규격인 루믹스 DMC-L10보다 본체 약 150cc, 렌즈 킷 385cc까지 부피를 절감했다고 한다. 이미지 센서는 4/3형, 1,210만 유효화소 Live MOS센서를 사용했다. 최고 감도는 ISO 3200까지 지원하며. 초음파 모터에 의한 먼지털이 기능도 갖췄다. 일반적인 DSLR 카메라의 펜타프리즘 위치에는 전자식 뷰 파인더를 장착했다. 144만 화소, 배율 1.4배, 아이포인트 약17.5mm. 시도 조절 기능도 갖추고 있어 사양에 대비한 실제 성능이 기대된다. 액정 모니터는, 회전형 3.0형 TFT LCD.46만 화소를 채택했고. 아이센서를 이용해 절전효과도 지원한다. AF는 콘트라스트 검출 방식.(DSLR의 위상차 검출방식에 비해 다소 아쉬운 사양이지만) AF포인트는 최대 23개까지 지원한다. 1포인트 사용시에는 AF포인트 이동은 물론, 포인트 크기 변경(4단계)도 가능하다. 이밖에 렌즈의 포커스 링을 돌리면 자동적으로 상이 확대하는 MF 어시스트 확대 사이즈 변경 기능도 탑재했다. 5배, 10배까지 확대할 수 있다. 연속 촬영은 초당 3장. 고속을 지원하는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면 JPEG로 무한 연사가 가능하다. 저장매체는 SDHC/SD 메모리 카드, MMC 카드를 지원한다.촬영기능에는 콤팩트 디지털카메라의 실용성에 충실한 기능이 채택되었다. 라이브 뷰 기능에 잘 어울리는 얼굴 인식 AF는, 한 번 피사체를 인식하면 옆 얼굴로 구도가 바뀌어도 계속 피사체를 추적해 인물촬영에 도움을 준다. 또, 초보자를 위해 화이트 밸런스를 '빛의 색', 노출을 '밝기'라고 표기하는 등 전문 용어를 배제한 점도 인상적이다. 이밖에 HDMI단자를 도입해 HDTV에 연결해서 고화질 영상을 볼 수 있다.
루믹스 DMC-GF1 루믹스 DMC-GF1은 올림푸스 E-P1과 마찬가지로 4/3형 포서드 규격 센서를 채용했다. 올림푸스 E-P1에 들어간 라이브 MOS 센서와 다른 1,210만 화소 파나소닉 N-MOS 센서를 이용해 최대 4,000 x 3,000 해상도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렌즈 마운트는 마이크로 포서드 마운트를 채용해 마이크로 쥬이코 디지털 시리즈와 파나소닉 마이크로 포서드 렌즈, 라이카 마이크로 포서드 렌즈와 호환된다.
HD급 영상을 찍는 동영상 촬영 기능은 AVI 모션 JPG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스테레오 녹음도 가능하다. 저장매체는 SD/SDHC 카드를 이용하고, 크기는 119 x 71 x 36 mm, 무게는 285 g으로 올림푸스 E-P1 보다 가볍다. 파나소닉 루믹스 DMC-GF1은 오는 10월 북미 지역에서 루믹스 G 바리오 14-45 F3.5-5.6/MEGA O.I.S 렌즈킷과 루믹스 G 20mm F1.7 ASPH 렌즈킷 등 두 가지 번들렌즈 킷으로 발매될 예정이다.
올림푸스 E-P2 올림푸스 E-P2는 올림푸스 최초의 마이크로 포서드 카메라인 E-P1 'PEN'의 마이너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2개의 아트 필터와 AF 트래킹, 컬러 부스팅 기능을 추가했다. 올림푸스 E-P2은 콤팩트한 디자인에 포서드 규격 CMOS 센서와 마이크로 포서드 호환 렌즈 마운트를 얹어 뛰어난 휴대성과 DSLR 카메라에 버금가는 화질을 동시에 제공하는 카메라다. 마이크로 포서드 카메라는 미러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SLR이 아닌 SLD(Single Lens Direct-view)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올림푸스 E-P2는 기존 올림푸스 E 시스템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4/3형 포서드 규격 라이브 MOS 센서를 채용했다. 총 화소수는 1,310만 화소, 유효화소수는 1,230만 화소로 올림푸스 E-30, E-620, E-P1에 탑재된 센서를 그대로 이용했으며, 최대 4,032 x 3,024 해상도를 지원한다. 렌즈 마운트는 마이크로 포서드 마운트를 채용해 마이크로 쥬이코 디지털 시리즈와 파나소닉 마이크로 포서드 렌즈와 호환된다.
올림푸스 E-P2는 트루픽 V 이미지 프로세서를 얹어 아트 필터와 같은 다양한 이미지 보정, 편집 효과와 1,280 x 720 해상도 HD급 동영상을 처리한다. 아트 필터는 기존 E-P1 대비 틸트 렌즈를 이용해 촬영한 듯한 효과를 주는 디오라마 필터, 그리고 색상 및 컨트라스트 전환을 통해 필름 사진과 같은 효과를 주는 크로스 프로세스 필터가 추가되었다. 렌즈 시프트 방식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먼지 떨이 기능도 지녔다. 감도는 ISO 100에서 ISO 6400까지 지원한다.
전자식 뷰 파인더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 후면의 3.0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라이브 뷰 촬영을 기본으로 지원한다. 라이브 뷰에 최적화된 라이브 MOS 이미지 센서는 콘트라스트 검출 방식으로 초점을 맞추고, 최대 8명까지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 AF도 지원한다. 새롭게 AF 트래킹 기능을 추가해 움직이는 피사체를 추적하여 정확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HD급 영상을 찍는 동영상 촬영 기능은 AVI 모션 JPG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스테레오 녹음도 가능하다. 올림푸스 E-P2의 크기는 121 x 70 x 36 mm, 무게는 335g으로 기존 E-P1과 거의 동일한 크기와 무게를 지녔다.
E-P2 발표와 함께 마이크로 포서드 렌즈군도 추가되었다. 올림푸스 M. 주이코 디지털 ED 9-18mm F4.0-5.6 렌즈와 M. 주이코 디지털 14-150mm F4.0-5.6 렌즈 2종이 내년 상반기 출시될 예정이다.
기사 내용은 <dcinside>에서 인용했습니다 |
'Study > Came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논 EOS 550D : 시작 (0) | 2011.11.23 |
---|---|
[스크랩] 쓸수록 매력적인 캐논 550D 사용후기& 핵심기능설명 (DSLR카메라,캐논카메 (0) | 2011.02.03 |
풀프레임과 크롭센서| 포서즈 이야기 (0) | 2011.01.29 |
사진촬영 동영상강좌(헬로우 디에스엘알:펌) (0) | 2011.01.20 |
디지털 카메라의 모든 것 (0) | 2010.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