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라 & へ山行
Cafe/Grandfather

[스크랩] 안악이씨의 유래

by 유리의 세상 2008. 10. 29.

안악이씨의 유래 

시조는 중국 농서 사람인 이진[李震]으로 전한다

     [안악이씨을축종보]의 기록에 의하면

     그는 기원전 108년 위만조선의 우거왕이 장군 공손수를 시켜 왕검성

     을  토평할 때  부장으로 출전하여 공을 세우고 대장군에 올라

     낙랑후에 봉해졌으며

     이어 낙랑태수로 한사군 설치의 대명을 완수했다.

 그의 증손 천보[천보]한나라선기사 대장군으로 흉노족 토벌에

     공을 세워  양산후 겸 낙랑태수로 봉해졌으므로  양산이씨로 하였다가,

     낙랑이 망하자 후손들은 고구려, 신라 등지로

     이주하여 대를 이어왔다.

 그후 후손 극규[極奎]고려개국공신으로 양산군에 봉해지고

     안악을 식읍으로 하사받아 후손들이 그곳에서 정착세거하며 

     본관을 안악으로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인물로는 극규의 11세손 위[魏]가 삼중대광 문하시중으로 양산백에 봉해

     졌고,

 후손 견[堅]고려 공민왕 때 검교문하대승 상장군으로

     홍건적의 난때 출정하여 분전하다가 순절하여

     안악군에 봉해졌다.


 그후 이견의 아들 정림(挺林)이 황해도 안악지방에  뿌리를 내리고

     정착세거 하면서 가세를 일으켰다.

 이견의 손자이자 정림의 아들인 의만(義萬)이 고려말에

     문하찬성사에 임명되었으나 화를 입고

     경상도 창원 지방으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생을 마쳤으므로 후손들이 창원, 의령,

     단성, 함안 등지에 집단 세거하게 되었다.

 흥인의 손자인 계을(桂乙)고려말에  판전리사사로 있다가

     국운이 기울고 조선이 개국되자 망국이 한을 품고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켜 스스로 목숨을  끊자

 그의 아들 안악감무 신(晨)이 두문동산 기슭에 아버지를 장사지낸뒤 

     그 묘앞에서 따라 자결하여 부자충절로 유명했다.

     그후 조선 세종때 와서 부자의 충절을 가상히 여겨 나라에서

     [이신]을 안악군으로 추봉하고

     그 때까지 양산이씨로 써오던  관향을 안악이씨로 고치게 하였다.

 신의 아들 구관(九寬)도 아버지의 뜻에 따라 벼슬길을 포기하고

     두문동에서 농사를 짓다가 임금의 명을 거절하지 못해 안악군수,

     예조참판 등을 지낸뒤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지장리에

     터를 잡아 후손들이 그지방에  살게 되었다.

 

 

집성촌으로는

     경남 의령군 칠곡면 산남리

                       궁유면 다현리

             고령군 개천면 좌연리

             함안군 칠서면 회문리

             산청군 오부면 오전리

      충북 괴산군 불정면 지장리

 

 

 

 

 

 

 

출처 : 안악이씨(참의공7세손 통정인춘파)
글쓴이 : 이장덕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