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라 & へ山行
Study/Cafe

[스크랩] 카페 활성화를 위한 정팅 노하우 (by [F.S.B]스키/보드)

by 유리의 세상 2008. 10. 31.

안녕하세요, 카레입니다.

 

카페 운영자로서 가장 고민되는 문제는 바로 회원들간의 화합과 카페 활성화일 것입니다.

특히 만든지 얼마 되지 않은 초기 카페들이나, 지역의 차이로 회원들끼리 자주 만나기 어려운 카페들, 또 회원수가 많아 오프라인 모임을 쉽게 하기 힘든 카페들에서는 더욱 그렇지요.

그럴 때 제대로 활용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정팅]입니다.

확실한 [정팅]노하우를 터득하셔서 카페 회원들간의 즐거운 정팅시간을 만들어보세요.


===============================================================================================

● 작성카페 : [F.S.B]스키/보드 (http://cafe.daum.net/firstski2007)

● 카페소개 : 스키/스노우보드를 즐기면서 배울 수 있는 편안한 카페입니다.

===============================================================================================

 

1. 개요

정팅이란 정기채팅의 준말로 동호회 회원들 끼리 정기적으로 하는 채팅을 통한 대화를 말한다.
이런 정팅은 온라인으로 알던 동호회 회원들간의 대화의 창이 열리는 것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많은 사람들을 알수 있고, 오프에서 만나도 낯설지 않게 되는 계기가 되는 아주 유용한

동호회 활성화 방법이다.

특히, 동호회가 활성화되지 않은 초창기거나 지방회원들과 대화할 수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보통 정팅은 일주일에 한번씩 하는 경우와 벙개씩으로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정해놓고 하는 경우가 많으나 시샵의 재량이나 개인적 사정에 의해 변경되기도 한다.

2-3년전만해도 일반 포털사이트에선느 동호회 자체적으로 정팅이 지원되지 않기도 햇으나

기술의 발달로 거의 모든 포털에서는 자체 채팅방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자체 운영하는 동호회에서는 세이클럽을 비롯 채팅전문 사이트를 이용하거나

자체적으로 채팅프로그램을 가지고 하는 경우도 있다.

정팅은 익명성이 다소 짙으므로 채팅에티켓을 지켜줘야하고 대화의 흐름이 다른 방향으로

새나가지 않게 조절하고 이끌어나가는게 중요하다 그리고 시간조절도 필요하고 나름대로

준비하고 조심해야될게 많다. 어떻게 정팅을 준비하고 잘 운영해 나가야 할지 천천히

알아보도록 하자


2. 사전준비

우선 최초에 정팅을 할때는 메인화면에 띄우고 공지에 올리고 전체메일을 보내는 것은 기본이다.
이는 한번도 온/오프라인을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필수적으로해야 한다. 정팅은 오프라인모임에 비해
그다지 복잡하지 않기 때문에 1) 정팅시간과 날짜, 2) 정팅에 들어오는 방법 등의 두 가지만 알려주면 된다.

그리고 정팅 당일날은 자유게시판에 정팅을 한다고 한번 더 작성하거나 정팅 참가자를 사전에 물어보면

대충 누가누가 올거란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면 사전에 그 회원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아보고 준비하는 것도 좋다.

쪽지기능이 있는 카페라면 쪽지로 당일날 몇시간 전에 알리는 방법도 좋은 방법이다.

물론, 메신저가 있다면 메신저 사용자들에게도 알려야 된다.

그리고 정시보다 조금 빨리 대화방을 만들면 사전준비는 끝나게 된다.

뭐 미리 식사를 해두거나 야식을 준비하는 것도 준비라고 하면 할 수 있을 것이다 ^^


3. 정팅노하우

1) 정팅 담당자 선발.
정팅을 담당하는 운영자를 선발하는 것이다.

바쁜시샵이 관리하기 힘들수도 있으니

정팅을 즐기고 동호회를 잘 알고 순발력과 센스를 겸비한 사람으로 선정해서

정팅을 책임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2) 정팅 참가자 특전.
가령 정팅참가자에게는 정회원 후보가 된다던지 뭔가 특전을 주면 정팅참여율이 높아 질 것이다.

3) 정팅 주제 미리 선정.
정팅주제를 미리 선정해서 회원들에게 관심을 끄는 것 예) 엠티나 정모에 관한 의견 등

4) 참가자 리스트 정리.
참가자 신청을 미리 받아서 붐을 일으키는 것.(분위기를 조성해둔다.)

5) 귓속말 기능 이용.
정팅시 두사람만의 대화를 계속적으로 할 경우 귓속말 사용을 권유하여

전체적으로 분위기가 조화로울 수 있도록 이끈다.

6) 불량회원 강퇴.
욕설이나 심한 말을 할 경우에는 경고 후 강퇴시킨다.

7) 신입회원 왕따 안 시키기.
일단 신입회원 오면 자기소개를 권유하고 운영진이나 정팅 담당자가 계속 말을 붙여서

대화하는데 왕따가 되지 않도록 조심한다.

8) 동호회 발전 방향 의견 듣기.
시샵이 느끼는 것과 회원들이 느끼는것은 차이가 많다.

동호회 발전을 위해 허심탄회하게 회원들의 비판이나 건의사항을 수렴하도록 한다.

9) 너무 많은 참여자가 발생할 때는
대화방을 정리해야한다. 인원제한을 미리 정하던지 두개의 방으로 나누던지 해야한다.

온라인의 특성상 참가자가 너무 많으면 분위기가 너무 산만해져서 흥미가 떨어진다.

10) 후기를 쓰게 하자.
정팅후기를 회원들 특히 신입회원에게 쓰게 함으로서 정팅참여의 의미를 되살리고,

다음번 정팅에 더 많은 참여자가 나올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들어준다.

11) 대화내용을 저장하자.

정팅시 갈등상황이 생길 경우 뿐만 아니라, 어떠한 의견이 오갔는지 기록해두는 의미에서

대화내용을 저장해둔다.

출처 : [공식] Daum카페 서포터즈
글쓴이 : 카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