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라 & へ山行
Study/Three Kingdoms Of China

삼국시대의 지역 현 명칭

by 유리의 세상 2008. 12. 1.

 

 

 

삼국시대의 지역 현 명칭

 

 

 

장사(長沙)  :  현 호남성 임상시(臨湘市)  

                     197년 손견이 구성의 반란을 평정한 후 태수가 됨. 나중에 한현이 담당함. 

 

장안(長安)  :  현 섬서성 서안시(西安市)

                     고조 유방이 서한을 건립한 수도. 211년 위수지전중 마초와 조조가 여기서 겨룸.

 

진류(陳留)  :  현 하남성 진류진

                    이 곳은 교통이 발달하고, 인재, 물자가 집중되는 요지임.

                    189년 조조가 여기서 기병하고, 동탁의 격문을 반포함.

 

복양(濮陽)  :  현 하남성 복양시

                    수운과 교통이 상당히 발달하여, 상업,전략요충지.

                    194년 조조와 여포가 여기서 사수전을 벌임.

 

낙양(洛陽)  :  현 하남성 낙양시

                    광무제 유수가 장안에서 천도한 후 동한의 수도가 되어 번성함.

                    220년 조비가 즉위한 후 위나라의 수도가 됨.

 

(薊)        :  현 하북성 계현

                    유주목 유우의 거점. 유우는 회유정책을 써서 오환족과 화목하게 지내려고 함.

 

계양(桂陽)  :  현 호남성 계양현

                    조범이 태수를 지냄. 조범은 조운으로 하여금 그의 형수를 취하게 하려 하였음

                    조운은 오히려 화를 내고 받아들이지 않음.

 

건녕(建寧)  :  현 운남성 곡정시(曲靖市)

                     촉국의 이회의 출신지. 225년, 이회가 옹개의 반란을 평정.

                     229년 이회는 태수가 되고, 선정을 베품

 

건업(建業)  :  현 강소성 남경시(南京市) (원래 명칭은 말릉이죠.)

                     212년, 손권이 장굉의 유언을 받아 오나라를 건업에 세움.

 

남피(南皮)  :  현 하북성 남피현 (삼국지8에서는 발해로 나옵니다)

                    발해군의 중심도시. 원소의 거점.

                    204년 원담이 이곳으로 도망쳐 오고 조조와 전쟁이 일어남.

 

성도(成都)  :  현 사천성 성도시

                    214년 유비가 유장을 항복시킨 후 이 곳을 근거지로 삼음

                    221년 유비가 즉위하고 촉한의 수도가 됨.

 

천수(天水)  :  현 감숙성 천수시

                    촉한명장 강유의 출생지.

                    제갈량의 제1차북벌시 묘계를 써서 강유를 투항하게 함.

 

여강(廬江)  :  현 안휘성 여강현

                    조조가 서주성을 도륙할 때, 많은 백성이 이 곳으로 도망쳐옴.

                    적벽대전 후, 백성들은 대거 강남으로 이주함.

 

시상(柴桑)  :  현 강서성 구강시(九江市)

                    동오의 수군기지. 주유는 이 곳에서 수군을 훈련시킴

                    적벽대전시 손권이 이 곳에 주둔함. 조조의 "회렵강동"의 서신을 받은 곳.

 

운남(雲南)  :  현 운남성 곤명시(昆明市) (삼국지7부터 운남은 계속 등장합니다. 맹획의 본거지죠.)

                    반란이 끊이지 않고, 제갈량의 남정후에 비로소 촉국에 투항함.

                    나중에 여개가 태수를 지내면서 통치함.

 

회계(會稽)  :  현 절강성 소흥시(紹興市)

                     양주남부의 대도시. 왕랑이 태수를 지냄. 나중에 손책이 진압

                     (중앙정부에서 파견된 태수 왕랑을 몰아냈는데 진압이라는 표현은 좀.. ^^;)

 

하비(下邳)  :  현 강소성 수녕현(睢寧縣)

                    사수와 기수가 둘러싸고 있는 서주의 요충지.

                    198년 조조가 수공을 이용하여 여포를 최종적으로 섬멸함.

 

한중(漢中)  :  현 섬서성 한중시

                    도교 오두미교의 중심지.

                    215년 조조가 장로의 수중에서 획득, 그러나 219년 유비에게 빼앗김.

 

영릉(零陵)  :  현 호남성 영릉시

                    유도가 태수를 역임함. 208년 유비가 격파함.

 

북해(北海)  :  현 산동성 유방시(濰坊市)

                    공융이 태수를 지내면서 황건적을 막음.

                    관도대전 전에는 원담이 통치함.

 

북평(北平)  :  현 요녕성 능원시(凌源市)

                    공손찬의 치소가 있는 곳. 어양의 염철의 이익을 이용하여 상업도시로 발전함.

 

영안(永安)  :  현 사천선 봉절현(奉節縣)

                    222년 이릉전투에서 대패한 유비가 백제성으로 도피함.

                    이후 이름을 영안으로 바꿈. 223년 유비가 여기서 사망함.

 

(宛)        :  현 하남성 남양시(南陽市)

                    장수의 거점. 197년, 장수가 조조를 기습하여, 전위, 조앙, 조안민이 모두 전사.

 

여남(汝南)  :  현 하남성 채현(蔡縣)

                    200년 관도작전기간동안 유비는 원소에서 벗어나 유벽과 이곳에서 활동

                    조조의 후방을 기습공격하고 괴롭힘. 201년 조조가 함락시킴.

 

양평(襄平)  :  현 요녕성 요양시(遼陽市) (삼국지7에서는 요동으로 나옵니다)

                    동탁이 공손도를 태수로 임명한 이래 238년까지 모두 공손씨가 관리.

 

상용(上庸)  :  현 호북성 죽산현(竹山縣)

                    유비가 한중왕에 즉위한 후, 유봉과 맹달로 하여금 이 곳을 공격하게 함.

                    나중에 관우가 맥성에서 힘들게 수비하면서 유봉등에게 구원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함.

                    (삼국지6에선 등장하지 않습니다. 삼6 지도로는 한중과 영안 사이. 삼국지9에선 서성으로 나와요)

 

양양(襄陽)   :  현 호북성 양번시(襄樊市)

                      일찌기 유표의 거점. 208년부터 조조에 귀속.

                      219년, 조인이 번성을 사수. 관우의 수공을 막아냄.

 

수춘(壽春)   :  현 안휘성 수현(壽縣)

                     남양을 빠져나온 원술이 이 곳을 거점으로 삼음.

                     197년 원술이 황제를 참칭하고 이 곳을 도읍으로 정함.

 

허창(許昌)   :  현 하남성 허창시

                     원명은 허(許). 196년 9월, 조조가 낙양에서 헌제를 데리고 이곳으로 천도.

                     221년 1월, 조비가 이곳의 이름을 허창으로 변경함.

 

(吳)         :  현 강소성 소주시(蘇州市)

                     산월족의 엄백호가 이곳을 점거함. 196년 손권에 격파당함.

                     이후 212년까지 손씨의 도성이 됨.

 

안정(安定)   :  현 감숙성 진원현(鎭原縣)

                      211년, 마초가 위수전에서 패배후 이곳으로 도망쳐옴. 후에 추격받아 기성으로 도망.

 

평원(平原)   :  현 산동성 평원현

                     기주와 청주, 서주에 연접한 요지. 일찌기 유비, 원담등의 통치를 받음.

                     나중에 조식이 이곳의 후로 봉해짐.

 

강릉(江陵)   :  현 호북성 형주시(荊州市)

                     유표가 양식물자를 쌓아둔 군사기지.

                     208년, 주유가 여기서 조인과 대전시 화살을 맞고 낙마함.

 

강하(江夏)   :  현 호북성 운몽현(雲夢縣)

                     유표 휘하장군 황조가 태수를 지냄.

                     황조는 여러번 손책의 맹공을 견뎌냄. 그러나 208년에 전사.

 

강주(江州)   :  현 중경시

                     파군의 중심도시. 226년 촉국의 중도호 이엄이 이곳을 지킴.

                     이곳의 수운의 편리함을 이용하여 강대한 성지로 건설함.

 

(鄴)         :  현 하북성 임장현(臨漳縣)

                     기주의 가장 부유한 도시. 191년 원소가 한복의 수중에서 이 땅을 빼앗음.

                     204년 조조가 심배를 대파하고 취득함.

 

무릉(武陵)   :  현 호남성 상덕시(常德市)

                     김선(금선)이 태수를 지냄. 208년 유비가 함락시킴.

 

무위(武威)   :  현 감숙성 무위시 (삼국지9부터 계속 등장한 듯 합니다)

                     양주서부에 위치. 토호반란이 빈번하여 장기는 조비의 명의 받아, 이곳의 반란을 평정.

 

소패(小沛)   :  현 강소성 패현(沛縣)

                     서주의 서방에 대한 최전선기지.

                     서주쟁탈전 중, 여포와 유비가 이곳에서 크게 싸우고, 조조도 가담함.

 

재동(梓潼)   :  현 사천성 재동현 (자동으로 쓰입니다. 삼국지3에서는 재동이었다고 기억이 나는 듯 한데;)

                     한중과 성도에 연접한 요충지. 유비가 촉에 들어간 후 군으로 승격

                     뇌준(듣도 보도 못한 장수로군요;;)이 태수로 임명되어 이곳을 지킴.

 

진양(晋陽)   :  현 산서성 태원시(太原市)

                     황건적의 난 후, 흑산적 장연이 점거. 205년 조조에 투항.

 

신야(新野)   :  현 하남성 신야현

                     201-208년 사이에, 유비가 유표의 요청으로 이곳에 주둔.

                     삼고초려를 거쳐 제갈량을 모셔내 군사로 삼음

 

 

 

 

.

'Study > Three Kingdoms Of Chi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   (0) 2008.12.01
위의 수도 허창 현 정보   (0) 2008.12.01
파서(巴西)   (0) 2008.12.01
호로곡   (0) 2008.12.01
[익주] 촉한의 수도였던 청두 무후사   (0) 2008.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