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변성 콘트라스트 인화지 (variable-contrast paper) |
필터로 확대기의 광원의 색을 변화시켜서 다양한 콘트라스트의 등급을 만들어내는 인화지. |
가색법 (additive color) |
가색법의 3원색인 청색(B),녹색(G),적색(R)을 다양한 비율로 배합해서 어떤 색을 만들어내는 방법.각 3원색은 광선의 스펙트럼에서 각각 1/3 의 범위의 파장을 차지한다.이 3원색을 여러가지 비율로 섞어서,백색광 을 포함한 어떤 색의 광선도 만들어 낼 수 있다. |
가이드 넘버 (guide number) |
플래시를 사용하는 촬영에서 적정한 노출을 얻을 수 있도록 플래시의 광량을 실용적으로 표시한 숫자.광원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일반적으로 ft)를 가이드 넘버로 나누면 f값(조리개값)이 나온다. |
감광유제 (emulsion) |
활로겐화은과 같은 감광성 화합물의 결정체를 젤라틴에 분산시킨 감광 도료.유제의 특성은 감광도,입자성,분광(파장이나 색에대한)감도,콘트 라스트를 말한다. |
감도 (speed) |
1)필름이나 인화지의 광선에 대한 상대적인 반응도.
2)조리개를 더 넓게 열어서 더 많은 광선이 들어오게 하는 렌즈의 상대적인 능력. |
감력 (reduction) |
노출과다나 현상과다에 의해서 지나치게 높아진 화상 농도를 저하시키는 방법. 일반적으로 흑화은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네거티브를 감력시키고, 사진에서 하이라이트 부분을 밝게 만들기 위해서는 인화지의 상에서 부분적으로 감력시킨다.보력을 참조. |
감력제 (reducing agent) |
현상액 가운데 포함되어 있는 활성 재료. 이것은 노광된 할로겐화은 결정체를 검은 금속은으로 변화시킨다.현상제라고도 부른다. |
감색법 (subtractive color) |
감색법의 3원색인 시안(C),마젠타(M),노랑(Y)의 색소를 다양한 비율로 배합해서 어떤 색을 만들어내는 방법.각 색소는 백색광에서 자신의 색을 뺀 나머지 색의 광선을 만들어낸다.광선의 모든 파장을 흡수하는 색소는 검정색을 만들어낸다. |
격막 (diaphragm) |
렌즈를 통과하는 광선의 양을 통제하는 장치.아이리스 격막은 렌즈 중앙의 구멍의 크기를 크거나 작게 조정할 수 있는 겹쳐지는 금속의 날개를 갖고있다.조리개,또는 렌즈 구경을 참조. |
계수 (factor) |
광선의 손실(예를들어,필터를 사용함으로서 생기는)을 보충하기 위해서,증가시켜야 하는 노출의 양을 표시하는 수치 |
고감도 또는 고속도(fast) |
1)광선에 매우 민감한 필름이나 인화지
2)조리개가 넓게 열린 렌즈
3)짧은 셔터 속도.저감도 혹은 저속도(slow)를 참조. |
고농도 (dense) |
네거티브나 포지티브상의 어느 부분에 많은 양의 흑화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기술하는 용어.고농도의 네거티브는 확대기로부터의 광선을 거의 통과시키지 않는다. 저농도 또는 엷은을 참조. |
고무 인화법 (gum-bichromate process) |
현대의 사진가들에 의해서 부활된 초기의 사진 처리법.컬러 색소를 가진 감광성 고무 용액이 유제로 쓰여진다.인화 과정에서 사진의 표면을 조작할 수 있다. |
과초점거리(hyperfocal distance) |
렌즈의 초점거리를 무한대에 맞추었을 때,카메라로부터 모든 피사체가 선명하게 초점이 맞기 시작하는 가장 가까운 지점까지의 거리.예를 들어 35mm렌즈의 조리개를 f11로 해서 무한대에 초점을 맞추면,3m부터 무한대에까지 초점이 맞게 되는데,이때의 과초점거리가 3m이다. 또 초점의 위치를 무한대가 아닌 3m에 맞추었을 때는 과초점거리의 절반 지점인 1.5m에서부터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게 된다.이 범위가 바로 피사계 심도이다. |
관용도 (latitude) |
화상의 질이 극단적으로 저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허용되는 노출과다나 노출 부족의 정도 |
광각 렌즈 (wide-angle lens) |
단초점 렌즈를 참조. |
광각 왜곡 (wide-angle distortion) |
광각 렌즈로 피사체에 접근해서 촬영할 때 생기는 원근감의 변화.피사체의 형태가 길게 늘어나 보이거나 원래의 위치보다 더 멀리 떨어진 것처럼 보인다. |
광택지 (glossy) |
표면이 매우 반짝거리는 인화지.매트지를 참조. |
교반 (agitate) |
현상하는 동안,필름이나 인화지의 표면에 신선한 용액이 닿도록 하기 위해서 그 표면 위의 용액을 움직여 주는것. |
교호의 법칙(reciprocity law) |
광화학 반응의 양은 작용하는 광선의 강도와 시간의 적으로 결정된다는 법칙. 감광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이 법칙이 적용되는 범위가 달라지기 때문에,실제 촬영에서는 노출을 늘리지 않으면 노출이 부족될 수 있다. 컬러 필름의 경우에는 극단적으로 노출시간을 연장했을 때는 컬러 밸런스가 깨질 수가 있다. |
교환 렌즈(interchangeable lans) |
카메라에서 탈착이 가능한 렌즈.촬영하는 도중,초점거리가 다른 렌즈로 바꾸어 낄 수 있다. |
그레이 카드 (gray card) |
정해진 비율만큼의 광선을 반사하는 카드.보통 반사율18%의 회색 면과 반사율90%의 백색 면을 가진다.정확한 노출계의 수치를 얻기 위해서(노출계는 반사율18%의 회색 톤을 노출의 기준으로 삼는다)사용되거나,또는 컬러 작업에서 알고 있는 회색톤을 얻기 위해서 사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