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용어집(2)
- 엘(L)렌즈(Low Dispertion)
저분산이라는 뜻으로 캐논사에서 만든 비구면 대구경 렌즈
- 엘비(LB)(Light balancing)Filter
색온도를 다소간 보정해 주는 필터로 상승용으로는 Blue게필터를,하강용으로는 Amber게
필터를 사용한다.
- 엘이디 (LED) (Light-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라고 하는것은 일정한 전압을 주면 특정한 색광을 발하는 것으로 오늘날
실용화되어 카메라에 내장된 노출계 바늘대신 여러가지 표시에 이용되고있다. 최근
각광받는 옥상 광고탑의 영화와 같은것도 수십만개의 LED의 점멸이다.
- 엘 (L) 타입필름
타입 S에 비하여 장시간 노광용으로 만든 프로용 칼라필름을 말한다. 1/30초 이하의
긴 노출을 필요로 할때 쓰이는 필름이다.
- 연속 톤(Continuous tone)
검정색, 회색, 흰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중간색을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이미지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말한다.
- 오렌지 마스킹(Orange Masking)
칼라 네가티브의 원판상에 전체적으로 엷은 오렌지 빛을 띠는 것으로 청색에 대한 잡색을
방지하며 색분해가 잘 이루어지도록 필름 유제층 중간과 마지막 층에 황색과 적색의 필터층을
삽입했다.
- 오토 스트로보 (Auto Steobo)
자동 스트로보라 하는데 이것은 정해진 조리개값을 카메라에 맞춰두면 거리에 따라
피사체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스트로보에 부착된 수광소자가 측정하고 그 밝기에 따라
광량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스트로보이다.
- 스트로보 (Strobo)
크세논(Xenon) 가스가 들어있는 방전관에 전류를 보내 순간적으로 수만~수백분의 1초의 짧고
강한 섬광을 발하는 조명으로 색온도가 5,500- 6,000K으로 주광에 가까워 주광용
칼라필름으로 촬영시 필터의 색보정없이 촬영이 가능하다. 스트로보 촬영시 이것을
싱크로 접점에 있는 악세사리 슈(핫슈)에 끼워 사용하면 셔터와 싱크로 동조되며, 분리시에는
X접점에 싱크로 코드를 접속시켜 사용하면 동조촬영이 된다.
- 오픈플레시(Open Flash)
저속셔터나 B또는 T셔터등의 장시간을 노출하면서 스트로버를 발광하는방법. 싱크로 동조와
다른점: 싱크로동조란 셔터개방과 동시에 스트로버가 동조되나 오픈플레시는 개방된후에
스트로버가 동조되고, 그 다음에야 셔터가 닫힌다.
- 왜곡(Distortion)
화면의 가장자리에 있는 직선이 휘어져 보이게 하는 렌즈의 수차나 렌즈가 피사체에
아주 가깝게 접근했을 때의 광각효과 혹은 아주 멀리 떨어졌을 때의 망원효과 등의
비정상적인 변화를 말한다.
- 원 편광 필터/CPL(Circular PL)
편광필터의 일종으로 하프미러를 이용한 AF 카메라에서 편광 효과를 볼 수 있는 필터로
AF카메라에 사용하면 정확한 측거가 가능하다.
- 원샷 현상액(One-shot developer)
한번 쓰고 버리는 일회용 현상액을 말한다.
- UV필터(UltraViolet)
자외선 흡수 필터로 헤이즈 컷트(Haze-Cut)필터라고도 한다. 무색의 투명필터로서 흑백,
칼라 공용으로 쓰이는 이 필터는 맑은날 원경을 촬영시 아지랭이 처럼 뿌여게 보이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필터로 렌즈 보호 역활도 한다.
- 유용광(Available light)
피사체 주위에 있는 빛 중에 상대적으로 어두운 빛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우리는
이러한 유용광을 이용하여 더욱 훌륭한 사진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 ED 렌즈
(Extraordinary Dispertion, Extra-Low Dispersion, Low Dispersion, Ultra Dispersion,
Special-Low Dispersion) 초저분산이란 뜻으로 니콘사에서 만든 비구면 렌즈를 사용한
대구경 렌즈. 빛이 유리를 통과하면서 빛의 파장에 따라 꺽이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한군데 빛이 모이지 않게 된다. 즉, 빛이 분산되므로 초점을 맞춘곳에 뚜렷하게 영상이
맺혀지는 것이 아니라 비뚤어지게(수차) 된다. 이런 현상은 망원으로 갈수록 더욱 심해져서
선예도가 많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분산이 잘 안되는 저분산성을
띤 유리(형석을 섞은 유리)를 사용하는데 이와 같이 특수 저분산 광학 유리를 사용한
렌즈를말한다.
- 이라데이션(Iradiation)
노광과다로인해 유제면에서 빛이 번진 현상인데 이것은 빛이 유제내에서 산란하여 빛을 받지
않은 부분의 할로겐화 은에도 감광시켜 화상을 해치는 현상
- 이멀션 넘버(Emulsion number)
유제번호라고하는 이멀젼 넘버는 사진 유제 제조시마다 그 기호를 필름의 포장지에 표시한
것으로 동일한 유제번호는 동일한 유제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동일한 질을 얻을 수 있고
비록 같은 종류의 필름이라도 유제번호가 다르면 다른 시기에 제조 되었기 때문에 그 질은
각기 미묘한 차이를 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질을 나타내려면
(특히 칼라에서) 같은 유제번호의 필름으로 촬영하는 것이 좋다. 같은 유제번호 끼리는
1란성 쌍동이이고 같은 필름명끼리는 2란성 쌍동이라고 생각하면된다
- 이미지서클
렌즈가 선명한 상을 맺는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포괄각도가 만들어낸 전체원의 직경을 말한다.
이미지서클은 화면보다 크며, 특히 대형 뷰카메라에서는 최소 조리개에서 이미지 써클이
필름의 대각선 길이보다 커야만 무부먼트를 할 수 있다. (이미지 서클은 조리개 값에 따라
변한다)
- EV값 (Exposure Valeu), LV값(Light Valeu)
노출값으로 AV(Aperture Value) + TV(Time Value)로 즉, 조리개 값과 셔터값의 상관관계에서
얻어진 값이다. 이 EV값의 기준은 조리계 F1에 셔터속도 1초가 0이고 조리개를 1Stop씩
조일수록 셔터속도를 1Stop씩 빨리할 수록 EV값은 1씩 증가한다.
- E.I(Exposure Index)
노출지수로 촬영시에 그 기준이 되는 가상의 감도이다. 즉, 필름의 정상의 감도를 비롯하여
과다또는 부족으로 촬영시에 쓰이는 감도인데 예를 들어 감광도 400인 Tri-X 필름을
증감하여 1600으로 촬영했을 시에는 그 노출지수는 1600이 된다.
- 이안 반사식 카메라(TLR: Twin Lens Reflex)
주로 SIX판에 쓰여지는 이 카메라는 독일 롤라이 프렉스에서 유래한 것으로 카메라 전면에
촬영용 렌즈와 파인더용 렌즈 2개의 렌즈가 설치되어 있어 이안 리프렉스 카메라라고 한다.
이 카메라는 파인더용 렌즈가 분리되어 있어 촬영되는 순간에도 피사체를 볼 수 있으며
셔터방식이 렌즈셔터식으로 촬영시 진동이 적으며 웨스트레벨 파인더를 이용하여 촬영자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앞뒤좌우로 카메라 방향을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필름에 비치는 화상을 직접 볼 수 없으며, 교환렌즈 사용이 불편하며 근거리에서의
시차가 심한 단점이 있다.
- E-6
내형 칼라 리버설 필름을 현상하는 프로세서로써 반전노광 없이 양화로 현상 처리하는
과정이다. Ektachrom등 대부분의 슬라이드 필름들이 이 과정에서 현상함.
- 인터 네가
슬라이드 필름을 인화할 때 슬라이드 필름을 네가티브 필름으로 복사하여 네가로 인화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 네가 필름을 인터네가 라고 한다.
- 2색 헤드(Dischromatic head)
확대하는 사진의 색깔을 조정하기위하여 눈금이 표시된 곳으로 라이트 빔을 넣기도 하고
빼기도 할 수 있는 노랑, 마젠타, 시안필터가 내장된 확대기 헤드를 말한다.
- 이안반사식 카메라(Twinlens reflex camera)
카메라의 위아래에 각각의 렌즈가 부착된 것으로 아래에 부착된 렌즈로는 필름에 이미지를
맺게 하고, 상부에 있는 렌즈로는 피사체의 모습이 거울에 반사되어 초점 유리판에 비추도록
고안된 카메라를 말하며 일명 "TLR 카메라"라고 부른다.
- 이젤(Easel)
인화작업 동안에 인화지 등의 감광재료를 평평하게 하고 확대기 받침대 위에 정확하게
고정시키는 틀을 말한다. 이미지를 다양한 크기로 만들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조절 눈금이
있는 자가 달려 있다.
- 인공광(Artificial lighting)
태양광처럼 자연광이 아니고 전등, 전자 플래시 기타 모든 인간이 필요에의해 만든
모든 빛을 말한다.
- 인화(Printing)
일반적으로 투명한 필름으로부터 밀착이나 확대기를 이용하여 양화의 사진을 인화지에
재생시키는 작업.
- 인화용 프레임(Printing frame)
밀착 인화시 네가티브(음화)에 완전히 밀착시킨 감광체(인화지 등)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는 틀을 말한다.
- 일광용 필름 (Daylight film)
색온도가 맑은 날 정오의 태양광인 5,500K-6000K정도에 맞추어져 있는 일반 촬영용 필름.
- 일안반사식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
렌즈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가 거울에 반사되어 윗쪽의 초점 유리판 에 맺도록하고,
다시 이상을 프리즘에의해 뒷쪽으로 반사시켜 파인더상에서 정립상을 보면서 촬영할 수 있다.
셔터버튼을 누르는 순간(노광직전)에 반사경이 위로 올라가고 그 사이로 빛이 필름에
도달하게 된다.약해서 SLR 카메라라고 한다. 이 카메라는 촬영자가 파인더(Finder)로
보는 장면과 동일하게 촬영 되는 것이 장점이다.
- 임계 초점면(Plane of critical focus)
명확하게 초점이 맞은 피사체의 임의의 부분을 지칭하는 말이다.
- 입사광식 노출계 (Incident-light meter)
피사체를 비추는 조도의 밝기를 측정하는 노출계로 수광부를 피사체 쪽에서 카메라쪽으로
향하게 하여 측정한다. 피사체 고유의 밝기를 재현해낸다. 피사체를 비추는 조도를
측광한다는 것은 조도의 밝기에 따라 노출값이 달라지는데 18%의 반사율을 갖는 피사체가
18%의 반사율을 갖도록 재현된다는 뜻이다. 이 반사율보다 흰 피사체는 희게, 검은피사체는
검게 재현한다. - 입자(Grain)
필름은 본래 수많은 작은 은 입자(알갱이)로 되어있기때문에 이로부터 확대된 사진은
이들 입자가 확대되어 자세히 보면 사진이 정밀하지않고 희끗희끗한 점들이 보인다.
고감도 필름일 수록 입자가 커 사진이 거칠게 보인다.
- 자동노출(Automatic exposure)
조리개 값이나 셔터속도가 빛의 양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는 시스템을 말한다.
- 자동조리개
일안 반사식 카메라는 촬영당시 좁혀지면 어두어 불편하여 평상시에는 완전히 개방되어
있다가 촬영 순간 정해진 F값 만큼 조리개가 조여진다. 이방식은 항상 밝은 화상을 보면서
초점 조절이나 촬영에 임할 수 있다
- 자동 플래시(Automatic flash)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측정하는 감광 소자가 내장되어 있어 필요한 광양만을 발광되게
하는 기능과 함께 피사체의 밝기가 충분할 때에는 플래시가 발광되지 않도록 전원이
자동차단 되게 하는 전자 회로가 내장된 플래시를 말한다.
- 자외선(Ultraviolet)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으나 필름 등의 감광재료에는 나쁜 영향을 끼치는 보라색 다음에 있는
스펙트럼의 한 부분을 말한다. 그래서 자외선 차단 필터인 UV Filter를 부착하여 촬영하면
이른 봄도로 위에 피어나는 아지랑이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선명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 잠상(Latent image)
필름의 유제층 속에 있는 할로겐화은입자가 빛에 노출되어 맺게 된 이미지를 말하며
이 이미지는 현상액으로 처리하기 전까지는 눈으로 식별할 수 없다.
- 장 초점렌즈(Long lens)
초점거리가 필름의 대각선 길이 보다 더 긴 렌즈를 말하며 표준렌즈를 통하여 보이는
시각보다 좁은 것이 특징이며 120mm, 200mm, 300mm...800mm... 등의 망원렌즈가 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수치가 큰 렌즈일수록 렌즈의 길이는 길어지며 촬영각도는 작아지고
촬영범위는 좁아지게 되어 피사체가 크게 촬영된다.
- 저감도(저속도)
저감도(저속도) 필름의 경우를 예를 들면 감도가 표준 필름인 ASA100이하인 ASA50, ASA25등을
저감도 필름이라고 하며 저감도 필름으로 촬영할 경우 동일한 조리개 수치로 비교 촬영할
경우 표준필름보다 느린 셔터속도로 촬영해야함으로 저속도(저감도)필름이라고 말한다.
고감도(고속도 참조)
- 적목현상 (Red eye effect)
적목현상이란 후래시가 내장된 소형 카메라에서 주로 발생하며 플래쉬의 위치가 렌즈의
광축과 가까울 때 칼라 사진에서는 피사체의 눈이 빨갛게, 흑백 사진에서는 희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망막의 실핏줄이 많아 피가 많이 몰려 반사되면서 붉게 보이는 것으로 플래쉬의
위치를 바꾸거나 밝은 빛을 잠깐 비춰주어 홍채의 크기를 줄인 다음에 촬영하면 방지 할 수
있다.
- 적외선(Infra-red)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으나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는 특수렌즈나 필름으로만 볼 수 있거나
감지되는 광선의 일종을 말한다.
- 전정색성(Pan Chromatic)
전정색성은 감광성 색소를 더하여 가시광선의 전범위에 감광할 수 있게한 것을 전정색성이라
한다. 여기에는 일반 촬영용 필름, 칼라 인화지, 그리고 파나루라 인화지 등이 여기에 속한다.
- 접사링(Extension tube)
꽃이나 곤충 등의 작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보조기구로서 카메라와 렌즈의 중간에
부착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원통형의 금속 링으로 렌즈와 필름 사이의 거리를 연장시켜
피사체를 정상보다 더 가까운 거리에서 초점을 맞출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작은 물체를 촬영할 경우 접사 링을 사용하면 망원 렌즈나 접사 렌즈를 부착하여
촬영한 경우 보다 더욱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 정색성 (Ortho Chromatic)
정색성은 청감성 필름에 감광성 색소를 감광유제에 첨가하여 노랑까지 감광되도록 한 것인데
인쇄제판용 필름이 여기에 속한다.
- 정착액((Fixer)
촬영된 사진의 이미지가 빛의 영향을 더 이상 받지 않게 하는 화학용액으로 현상된
이미지(은 입자)는 그대로 두고 노광되지 않은 할로겐화은 결정체를 용해시켜 버리는
역할을 한다. 정착액으로는 티오황산나트륨이나 티오황산 암모늄이 있다.
- 제곱 반비례법칙(Inverse square law)
빛의 강도는 광원과 피사체간의 거리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광학 법칙을 말하며 광원과
피사체간의 거리가 2배가되면 피사체에 도달하는 광선의 양은 1/4로 감소되는 것을 의미하며
거리 역 2승의 법칙이라고도 한다.
- 조도(Value of Iluminance)
피사체의 표면에 닿는 빛의 강도를 말하며 입사광식 노출계로 측정할 수 있다.
- 조리개
빛은 면적에 비례하므로 렌즈의 면적을 금속 막으로 조절, 빛의 투과량을 조절한다.
- 조리개 역할
1) 빛의 양을 조절한다.
2) 피사계 심도를 조절한다.
3) 화면의 줌심부와 주변부의 투과율 차이를 없애 밝기를 균일화 해준다.
4) 렌즈의 몇몇 수차를 줄여 선예도가 향상된다.
- 조리개 우선식
자동노광 방식의 하나로 조리개값을 먼저 맞추어 두면 셔터 속도가 노광량에 맞춰
알맞은 속도로 자동 노광되는 방식.
- 존 시스템 (Zone System)
자연의 계조를 인화지 위에 재현하는 체계로서 순흑의 존 0에서 순백의
존 10까지 11단계로(책에따라 0-9까지 10단계로 된 경우도 있다) 그 색조를 나누어
자연의 계조를 사진적 계조로 연결시켜 생각 할 수 있는 체계를 존 시스템이라 한다.
이 존 시스템을 이용하면 피사체가 최종적으로 인화지에 나타나는 계조의 영역을 촬영자가
최종적으로 알 수 있게 해준다. 이런 존 시스템의 실제적인 접근 방법에는 우선 촬영시
노광을 적정, 부족, 과다로 하여 현상때 적정, 과다, 부족으로 현상하면 톤의 축소/확대를
이루어 톤의 영역을 원하는 대로 재현해 낼 수 있다.
- 존포커스방식
초점 조절방식이 근경, 중경, 원경등으로 거리의 범위를 몇 단계로 나누어 그림으로 표시한
방식이다. 피사계 심도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방식으로 정확성이 떨어지며 저가의
소형 카메라에 채택.
- 주광(Main light)
"키 라이트"라고도 하며 보조광의 상대가 되는 말로서 촬영시 피사체의 양감과 질감 표현의
주축이 되는 광원이다. 주로 스튜디오 촬영시 사용되는 말이나 예를 들면 야외에서
역광 촬영시 태양광 은 주광이 되고 플래시광은 보조광이 된다.
- 주름상자(Bellows)
View camera에서 처럼 렌즈판과 뒤쪽의 Viewing screen을 연결하는 부분의 주름통.
상자와 같이 되어 있어 렌즈와 필름면 까지의 거리조절이 보다 자유로우며 렌즈의
방향을 상, 하, 좌, 우로 움직일 수 있어 렌즈의 구면수차로 인한 피사체의 이즈러짐을
최대한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상품광고 사진촬영등에 주로 사용된다.
- 줌인(Zoom in)
줌렌즈 사용시 셔터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 초점거리를 변경하여 방사선 모양으로 화상이
흐르는 효과를 내는 기법.
- 줌렌즈
초점거리를 변경시킬 수 있어 하나의 렌즈로 여러 렌즈 역할을 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나
저가품은 화질이 단일렌즈에비해 떨어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28-105mm, 35-70mm, 70-210mm,
80-200mm, 100-300mm 등 회사별로 매우 다양하다.
- 줌비율
최소 초점거리와 최대 초점거리의 비로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35mm-70mm 줌렌즈는 2배의
줌비율을 가지고 있다.
- 중간 톤(Mid tone)
극도로 밝은 하이라이트도 아니고 아주 어두운 그림자도 아닌 중간 밝기의 부분을 말한다.
인화시에는 중간회색이 이에 속한다.
- 중간회색(Middle gray)
18% Gray card의 평균 회색 톤을 말하는 것으로 노출측정시 이것을 표준으로 삼기 때문에
표준카드 라고도 한다.
- 즉석필름(Instant film)
촬영한 후에 현상처리 과정이 없어도 필름 자체에 현상에 필요한 약품이 포함되어 있는
필름을 말한다. 예컨대 코닥 인스턴트 칼라필름이나 폴라로이드 SX-70이 바로 그것이다.
- 증감현상(增感現像)
감도를 증가시켜 현상 처리한다는 말로서 필름의 감도보다 더 높은 감도(High speed)로
노광시키고 정상보다 현상을 늘려 노출부족상태를 보충하는 방식의 현상 처리법.
증감현상을 전제로한다면 어두운 장소에서도 고속촬영이 가능해 진다.
예를 들어 ASA 400으로 1/15초의 셔터가 나왔다면 ASA 1600에 맞춰 찰영하면 두단 위의
1/60초에 찍을 수 있으며 반듯이 증감현상해야 한다.
- 집광식 확대기(Condenser enlargement)
광원과 필름 사이에 볼록렌즈에 의해서 광선이 집광되고 조정되는 빛으로 필름을
비추게 되는 확대기를 말하며 노광시간이 빠른 장점과 스크래치등이 잘 나오는 결점도있다.
..
- 착란원
거리가 맞은 곳으로부터 입사된 빛은 필름면에 점이 되었다고 간주하지만,앞뒤로 떨어진
곳에서 입사된 빛은 필름면 앞뒤에 초점이 형성되므로 실제 필름상에는 점이되지 않고
원으로 흐려지는데 이것을 착란원이라 한다. 그러나 이점이 매우 작을때는 우리 눈으로는
점인지 원인지 분간이 되지 않는데, 촛점이 맞지 않았어도 맞아있는 것 처럼 보이는 원의
크기를 허용착란원이라 하며 이 허용 착란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피사체의 범위를
피사계 심도라 한다. 허용 착란원의 크기는 인화지 상에서의 크기가 0.25-0.5mm 정도이므로
35mm 필름의 경우 네가티브 필름상에서는 0.03mm 이하여야 한다.
- 청감성
흑백 감광재료 중에서도 400-550nm 정도의 청색광에만 감광되는 것을 말한다. 일반 인화지가
여기에 해당이 되는데 적색광에는 김광되지 않기때문에 프린트 작업을 하면서 적색 불을
켜놓고 작업할 수 있어 대단히 편리한다.
- 초점심도 (Depth of focus)
피사계 심도는 거리를 맞춘 앞뒤 어느정도의 범위가 또렷한가를 말하며,
이때 필름쪽에는 필름을 전후한 작은 범위의 깊이가 있게 마련인데 이 범위를
초점심도라한다 .렌즈의 해상도가 높으면 초점심도가 깊기 때문에 사진의 화질 역시
매우 훌륭하나 렌즈의 가격이 매우 높아서 투자 효과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 초점거리(Focal length)
렌즈를 무한대에 초점을 맞추었을 때 렌즈의 중앙에서 초점 면까지의 거리를
(엄밀하게는 젠즈의 광학상의 중심점인 제2주점부터)말하며 이 길이가 길어질수록
렌즈의 배율이 높아지고 렌즈길이도 길어진다.
- 초점면(Focal plane)
영상이 가장 선명하게 맺히는 곳과 렌즈 중앙부와의 거리를 초점거리라고 한다면
초점거리가 같은 점들을 모두 이으면 하나의 면이 생기는데 우리는 이를 초점면이라
하고 이곳에 필름이 위치하면 선명한 상이 찍힌다.
- 초점 막(Focusing cloth)
뷰 카메라에 사용되는 천으로서 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고 초점면 유리 위에 맺히는
이미지가 잘 보이도록 하는 일종의 보조기재로서 카메라의 뒷부분과 촬영자의 머리 부분을
완전히 뒤집어쓸 수 있도록 하여 가급적 많은 광선을 차단시켜야 카메라의 초점유리에
피사체의 상이 잘 보이게 된다.
- 초점유리(Grounded glass)
유리판의 한쪽 면을 거칠게 갈아만든 우유빛 유리로 이곳에 상이 투영되면 상이 나타나게된다.
1안 반사식의 focus screen이나 뷰 카메라의 파인더인 Viewing screen을 말한다.
- 축광(Axis lighting)
렌즈의 중심 축으로 통과되는 광선을 말하며 광축이라고도 한다.
- 측면광(Side lighting)
광선이 피사체의 우측 또는 좌측에에서 비추는 것으로 명암이 양분되어 입체감이 강조되고
인물 촬영에서는 매우 강한 인상이되어 일부 남성 패션 사진등에 쓰인다.
- 카메라 무브먼트 (Camera movement)
대형 카메라에서 렌즈나 필름면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거나 경사지게해서 촬영하는 방법을
말하는데 피사계심도나, 원근감, 그리고 왜곡을 조절하여 다양한 화상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기법에는 Swing, Tilt, Shift, Rise, Fall등이 있다.
- 카메라 아이 (Camera eye)
어떤 대상물을 사진적인 시각으로 판단하여 촬영하는 능력
- 카메라 옵스큐라(Camera obscura)
라틴어로 "어두운 방"이라는 말로서 캄캄한 방의 창문에 작은 구멍을 낸 후에 그 구멍을
통하여 들어온 외부의 풍경 이미지가 맞은편 벽면에 비추게 되는 현상을 말하며 마침내
그 구멍에 렌즈를 부착하게 됨으로서 선명한 이미지를 얻게 되었는데 이것이 카메라의
효시라고 할 수 있다.
- 카세트(Cassette)
35mm 필름이 자연광 아래에서도 빛에 노광되지 않도록 광선이 완전 차단된 원통형의
작은 필름 통을 말하며 Cartridge(카트리지)라고도 한다.
- 칼라패취(Color Patche)
Y, M, C, B, G, R등 원색과 흰색과 검정색으로 이루어진 작은카드로 색 분해시
표준피사체로 이용된다. 이것은 보통 복사할때 주로 이용되는데 복사할 피사체 옆에다
이 카드를 놓고 촬영한 후에 색분해할때는 이 카드의 칼라를 중심으로 색분해를 해주면
정확한 색을 얻을 수 있다.
- 칼라용 형광등
현재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형광등은 저압 수은등의 일종으로 관벽에 형광 물질을
도포하여 관내에서의 방전으로 생기는 자외선을 가시광선으로 바꾸어 조명하는 방전등이다.
그러므로 휘선의 영향으로 육안으로는 자연스런 광질로 보이지만 칼라 촬영에 이용하면
녹색기가 돈다. 일반 형광등은 칼라 촬영용 광원으로는 부적당 하지만 꼭 사용하여야 할
경우에는 형광등 촬영용 LB필터 (FL)나 20M정도의 CC필터를 사용하여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칼로타입(Calotype)
종이 위에 이미지를 만드는데 최초로 성공한 네가티브-포지티브 사진처리 기법을 말하며
"탈보트"라는 사람이 발명했다고 하여 탈보트 타입이라고도 한다.
- 캐리어(Carrier)
필름을 확대기 속에서 평평하게 고정시키는 틀을 말한다.
- 커트필름(Cut-film)
시트필름 참조
- 캐취라이트(Catchlight)
인물사진 촬영시 눈 속에 생기는 광원의 반사현상을 말한다.
- 컨버션 렌즈(Conversion)
마스터렌즈의 앞이나 뒤에 부착하여 초점거리를 연장하거나 단축시켜주는 역할을한다.
앞에 부착하는것은 와이드(보다 광각이 됨) 뒤쪽에 부착하는 것을 텔레(보다 망원이 됨)
콘버터라 부르기도한다
- 컬링
필름이나 인화지가 유제면 쪽으로 말리는 현상으로 할레이션 방지막이나, 건조시에 무거운
추를 사용하여 방지 할 수 있다.
- 케이블 릴리즈
카메라의 셔터나 릴리이즈 구멍에 꽂아서 케이블을 통해 셔터를 끊을 수 있는 장치를
말하는데, 셔터를 손으로 누르는 것 보다 흔들림이 없어 저속속도 촬영시나 장시간
노출시에 사용한다. 공기압을 이용한 에어 릴리즈도 있다.
- K-14
외형 칼라 리버셜 필름의 발색과 현상을 시켜 주는 프로세서로써 코닥크롬의 모든 필름들이
이 과정에서 필름 현상을 한다. 코닥크롬은 필름내에 발색제가 없고 현상과정중에서
발색된다하여 외형 칼라 리버셜 필름이라 한다. (Kodachrome)
- 캘빈도(Kelvin temperature)
색온도를 발견한 물리학자 Kelvin의 이름을 따 색온도에 붙이는 단위로 K로 표시한다
- 코팅
렌즈의 경계면에서 굴절률이 달라져 빛의 일부 약 5%가 반사된다. 3군3매구성이라는
간단한 렌즈에서도 경계면을 6번 통과하게 되므로 26.5%나 광량 손실이 생긴다. 줌 렌즈와
같이 구성 매수가 많아지면 그 광량 손실또한 심각한 것이 된다. 더구나 투과되지 못한 빛은
렌즈속에서 몇번씩 반사를 되풀이 하여 마지막에는 플레어로서 필름면에 도달한다.
이것이 포그가 되어 렌즈의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킨다. 그래서 렌즈의 표리 양면에 얇은 막을
진공증착하여 증투율을 높혀 반사율을 최소화한다.
- 콘트라스트(Contrast)
이미지의 일정 부분의 톤과 다른 부분의 톤의 강약의 차이를 말하는 것으로
"이미지의 콘트라스트가 강하다"라는 것은 화면의 색상이나 밝고 어두운 정도의 차이가
정상 보다 심한 경우를 말한다. 콘트라스트가 강한 사진을 "경조의 사진"이라고 말한다.
- 콘트라스트 등급(Contrast grade)
인화지의 종류에 따라서 콘트라스트의 강약을 일정 등급으로 나누는데 0-1호는
부드러운 콘트라스이고, 2-3호는 정상이거나 중간 상태이고 4, 5, 6호는 강한
콘트라스트를 나타낸다.
- 크로마제닉 필름(Chromagenic)
최종 인화지가 은이 아니고 화학염료로 이루어진 흑백 필름으로 현상은 칼라네거와
같은 C-41로 해야한다. 이 필름은 관용도가 우수하며 같은 필름에서 각 프레임마다
서로 다른 감도로 노출이 가능한 필름으로 보통 5Stop이상의 관용도를 가지며
아그파의 Vario-XL (125, 200, 400, 800, 1600) 일포드의 XP-1, XP-2
(50, 100, 200, 400, 800)가 있다.
- 크로핑(Cropping)
훌륭한 화면의 구성을 위하여 이미지의 가장자리를 자르는 것을 말하며 크로핑은
촬영직전에 파인더에서 할 수도 있고, 인화과정에서 이젤이나 확대기를 조절하여
크로핑하는 방법과, 완성된 사진의 인화지를 크로핑 하는 경우도 있다. 크로핑과 같은
용어로는 Trimming (트리밍)이라는 말이 있다.
- 크롬(Chrome)
Color trasparency, Slide film의 다른 용어로 생각하면 된다. 예컨대 "후지 크롬"이나
"후지 슬라이드 필름"이나 같은 용어이다.
- 클로즈 업(Close-up)
촬영시 접사 링이나 주름상자 또는 여타의 보조렌즈를 사용하여 곤충과 같은 작은 피사체를
보다 가까이에서 초점을 맞추어 보통의 이미지보다 크게 촬영 되도록 근접 촬영하는 작업을
말한다.
- 키 라이트(Key-light)
주 광원이라고도 하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서 사용되거나 이용되는 주된 광원으로서
보조광의 반대되는 말이다. 예컨대 태양을 키 라이트로하되 역광으로 처리하고 스트로보를
보조 광으로 하면 보다 멋진 사진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되니 잘 될 때까지 여러 번 시도해
보는 것이 중요한 일이다.
- 커트필름(Cut-film)
시트필름 참조
- 터널 뷰 (Tunnel view)
마치 터널에서 밖을 내바보는 것처럼 중심부의 피사체를 모양이나 색채가 다른것으로
둘러쌓인 사진을 터널뷰라하며 중심에 놓인 피사체가 강하게 강조된다
- 트리밍(Trimming)
인화 과정에서 어느정도 구도를 다시 맞추는 것으로 확대를 많이 하게되어 화질이
떨어지므로 주의해야한다.
- 특성곡선
필름과 같은 감광재료의 성질을 나타내는 곡선으로 H&D곡선이 라고도 한다. 이것은
일정한 조건하에서 단계적인 노광을 하여 현상했을 때 가로축에 노광량, 세로축상에 농도를
그린 곡선이다. 이 곡선의 모양과 경사도에서 감도, 콘트라스트, 관용도, 현상조건을
바꿨을때의 결과들을 예측 할 수 있다.
- T셔터(Time shutter)
셔터를 누르면 셔터가 열린채로 고정되고 다시 누르거나 다이얼을 돌리면 닫히는
장시간 노출용셔터 니콘의 F2 F3 F4 F5 등에 장치됨
- T입자(T-Grain)
감도 1000의 코닥칼라 VR 1000의 유제에 평편한 형상을 한 '할로겐화 은'을 채용하였는데
(이제까지는 조약돌 모양의 입자) 이 형태가 錠劑와 비슷 하여 Tablet의 첫글자를 따서
T입자라고 한다. 따라서 평편한 T입자는 수광률이 높고 감도에 비해서 입상이 미세하여
입자가 곱다.
- 틸트 (Tilt)
뷰카메라의 렌즈면이나 필름면을 앞이나 뒤로 숙여서 촬영하는 것으로 수직방향의 왜곡이나
초점을 조절한다.
- 틸팅 (Tilting)
틸트에서 온 말로 촬영시 저속 셔터로 카메라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 그으며 촬영하는 기법.
나무나 빌딩 숲등을 변화를 주어 촬영할 수 있다.
- 타임(Time)
사진용어 중에서 타임("T"자로 표기)이라는 말은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즉, 카메라의
몸체에 붙어 있는 셔터 스피드 가이드 넘버를 보면 125, 60, 30, 15, ...T(B)라는 표기가
있는데 125라는 숫자에 세팅하면 셔터속도가 1/125초라는 의미이고. T(B)자 표시가 있는
곳에 세팅하면 촬영자가 셔터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은 셔터가 열린 상태로 있게 하는
기능이 있는데 이를 우리는 "T셔터(B셔터)" 또는 "셔터속도를 T(B)에 놓는다"고 말한다.
카메라에 따라서 T자 대신 B자로 표기된 경우도 있다.
- 태양동조(Synchro-sun)
직사광선 하에서 촬영하면 인물의 코나 턱의 그림자가 너무 검게 나와서 좋은 사진을 만들기
어려운데 이러한 경우 사진의 콘트라스트를 줄이기 위하여 플래시 광을 보조 광으로
이용하거나 반사 판을 활용하면 그림자의 톤(농도)을 상당히 줄일 수 있게 되어 보다
좋은 사진을 만들 수 있다. 우리는 이런 경우에 태양동조 촬영을 한다고 한다.
- 탱크(Tank)
현상액 등 필름현상 작업에 필요한 화학약품을 담는 용기를 말한다.
- 텅스텐 광(Tungsten light)
텅스텐 코일이 들어 있는 전구에서 발산하는 광선을 말하며 전원을 켜면 백열광을 내기 때문에
백열광 이라고도 한다.
- 텅스텐 필름(Tungsten film)
광원의 색온도가 텅스텐 광원과 같은 약 3,200K일 때 정확한 발색이 되도록 제작한
칼라필름을 말하며, B타입 필름이라고도 부른다. (A타입 필름 참조)
- 텐팅(Tenting)
광택이 있는 피사체의 경우 카메라, 촬영자 또는 스튜디오의 천장이나 벽면의 불필요한
영상이 피사체에 반사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흰 종이나 천 등으로 하우스를 만들어 촬영하는
방법을 말하며, 다른 말로는 "Housing"이라는 말이 있다.
- 톤(Tone)
사진에 있어서 그림자는 어두운 톤이라 하듯이 특정 부분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표현하는
말에 사용된다. 또 다른 의미로는 인화의 색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인화지를 화학용액에
담그는 것을 말한다.
- 투영인화(Projecting printing)
네가티브 필름의 이미지를 암실에서 인화지 위에 빛으로 투영시켜 이미지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 트랜스패런시(Transparency)
투명하다라는 단어에서 나온 말로서 유리 위에 그린 그림과 같이 밝은 곳에 비치어 보면
양화로 보이듯이 촬영된 슬라이드 필름의 경우도 투명한 셀로판 위에 촬영된
이미지가 칼라(양화)로 보인다. 그래서 우리는 Slide film을 "트랜스패런시 필름"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양화라고 하는 의미는 음화와 반대되는 말로서 육안으로 보는 것과 같이
이미지의 톤이나 색조가 동일하게 보이는 것을 말한다.
- 특성곡선(Characteristic curve)
사진재료가 빛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는 정도를 도표로 나타낸 것을 말하며 이는 현상하는
동안에 빛의 증가가 은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곡선 그래프로 보여 주는 것이다.
-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
화학물질로서 정착액 속의 활성성분을 말한다.
-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
최종 인화지가 은이 아니고 화학염료로 이루어진 흑백 필름으로 현상은 칼라네거와
같은 C-41로 해야한다. 이 필름은 관용도가 우수하며 같은 필름에서 각 프레임마다
서로 다른 감도로 노출이 가능한 필름으로 보통 5Stop이상의 관용도를 가지며 아그파의
Vario-XL (125, 200, 400, 800, 1600) 일포드의 XP-1, XP-2 (50, 100, 200, 400, 800)가 있다.
- 티티엘 노출측정 방식
(TTL Exposure measuring system) 1안 리플렉스 카메라의 내장 노출계 측정방식을 말할 때
주로 언급되는 말인데 TTL 이라는 의미는 Through The Lens라는
영어의 Initial (머리글자)로서 빛이 "렌즈를 통과한다"라는 말로부터 나왔으며,
이러한 노출 방식은 렌즈를 통해서 들어온 광선의 양을 카메라에 내장된 감광소자에 의해서
노출을 측정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경우 전자회로의 기능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평균노출 측정방식 또는 특정 부위 지정노출 측정방식등의 많은 기능이 있어 촬영의 기동력과
정확한 노출측정에 많은 도움이 되게 되었다.
- 틴 타입(Tintype)
초창기 사진작업의 일종인 습판법으로 유제가 짙은 색의 주석판 위에 코팅되어 있으며
포지티브 이미지를 만들게 된다.
..
- 파머감력제(Farmers's reducer)
티오황산나트륨과 시안 제2철의 혼합용액을 말하며 현상된 필름의 농도가 너무 지나칠때
필름의 은의 양을 줄여 농도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 팬닝(Panning)
동체의 움직임에 맞춰 카메라가 따라가면서 찍는 방법으로 동체의 화면은 정지되고
배경은 속도감 있게 흐르는 것이 특징이다. 팬닝을 잘하려면 복잡한 배경을 선택하여
느린 셔터속도로 동체가 90도,렌즈는 망원렌즈로 찍으면 좋다.
- 팬크로마틱 필름(Panchromatic film)
가시광선에 속하는 거의 모든 파장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필름을 말한다.
- 팬 포커스(Pan Focus)
가까운 곳에서 먼 곳까지 초점이 흐린 부분 없이 선명하게 초점이 맞은 상태.
이러한 사진들은 특정한 부분을 강조하기보다는 설명적인 사진에 알맞다.
- 퍼스펙티브(perspective)
사진이나 그림처럼 평면에서 느끼는 원근감을 말하며, 사진에서는 광각렌즈는 원근감이 크고
망원렌즈는 작다
- 펜듀럼(Pendulum)
가는 줄에 매단 점(點)광원의 흔들이 운동을 B셔터로 촬영한 그래픽 사진.
- 편광필터(Polarizing Filter)
PL필터라고도 하며 금속반사를 제외한 모든면에서 오는 반사광을 없애기 위한 중성회색
필터로 반사면으로 부터 38도 +-5도정도가 가장 효과적이다. 빛의 성질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빛은 직진하면서도 직진축 방향 축에 대하여 90도 방향으로 상하좌우의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진행한다. 이때, 편광필터의 기능은 필터가 선택하는
일정 방향이외의 파장(진동파)을 차단시킴으로서 유리나 금속 표면의 반사로 인하여
이미지가 흐려지는 현상을 바로 잡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금속 표면이나 푸른 하늘에
떠있는 흰 구름을 촬영해 보면 그 효과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약어로 PL filter 라고
부르기도 한다.
- 포괄력(Covering power)
렌즈가 읽어 내는 초점면의 앞 뒤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이미지의 선명도는 렌즈의 종류와
성능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으며 망원렌즈의 경우 표준렌즈나 광각렌즈보다 포괄력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 포그(Fog)
비정상적인 노광에 의하여 사진 이미지 전체가 안개와 같이 흐려지게 나타나는 경우를
말할 때 사용되는 용어이다.
- 포스테리제이션(Posterization)
포스터와 같은 평면적인 이미지를 뜻하는 것으로 네가티브의 다양한 회색톤을
하이콘트라스트 리스 필름을 사용하여 몇 단계의 뚜렷한 회색 톤으로 분리하는
작업을 말한다.
- 포인트 아이(Point eye)
SPD나 CDS측광소자를 사용하는 렌즈셔터식 콤팩트 카메라의 수광창을 렌즈 경동의
대물렌즈쪽 선단 네임프레이트 부분에 배치한 것을 '포인트 아이式' 이라고 한다.
이전에는 수광창을 카메라 보디 상부의 화인더 커버부분에 배치한 것이 많았는데,
수광창을 포인트 아이式으로 배치하면 필터를 사용할 때 노출량의 조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 지며 또 카메라를 파지 할 때에 손으로 수광창을 가리는 실수도 피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 포지필름
슬라이드 필름 양화 필름 또는 리버셜 필름이라고 불리는 이 필름은 피사체의 밝은 부분은
밝게 어두운 부분은 어둡게 재현시키는 필름.
- 포칼플레인 셔터
초점면 셔터라는 뜻인데 필름의 바로앞에 천이나 금속편으로된 2장의 막이있고 이막이
한쪽부터 순차적으로 지나가면서 노광이 이루어진다.일정속도이상에서는 두장의 막이
점점 좁아져 고속에서는 아주 좁은틈새 (Slit)를 만들어 달리게 되므로 매우 빠른 셔터가
가능하다.
장점
1)고속셔터를 만들기 쉽다
2)밝은 렌즈가 만들기 쉽다
3)촬영중 렌즈교환이 쉽다
단점
1)동체가 왜곡이 될 수도 있다
2)노출이 고르지 못할 수 있다
3)동조셔터 이하에서만 후래쉬를 사용해야한다
- 포커스 프라이어티(Focus Priority)
'초점 우선식' '캐취 인 포커스(Catch in Focus)' '스냅 인 포커스(Snap in Focus)' 라고도
한다. 빨리 움직이는 피사체를 찍을때 초점을 맞추기가 어려우므로 피사체가 움직이면서
다다를 것으로 예상되는 곳에 미리 초점을 맞추어 두었다가 그 지점에 왔다 싶으면 셔터를
누른다. 그러나 그렇게 찍어도 실제로는 찍히는 순간과 셔터를 누르는 순간과의 사이에
시차가 약간씩 생기기 때문에 (Time Lag)정확한 초점을 맺지 못한다. 그래서 초점을 지정해
놓고 피사체가 그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셔터가 눌리는 방식이
포커스 프라이어티 기능이다.
- 포토그램(Photogram)
필름 또는 인화지 위에 직접 피사체를 놓고 노광하여 만든 사진 이미지를 말한다.
- 포토 매크로그래프(Photomacrograph)
피사체의 실제 크기 이상의 이미지를 만든 사진을 말하는 것으로 마크로렌즈로 클로즈업
촬영에 의해서 만들어진 사진을 말하며 일명 "매크로사진"이라고도 한다.
- 포토 몽타쥬(Photomontage)
서로 다른 이미지를 오리고 합성하여 새로운 이미지로 합성하여 만든 한장의 사진을 말한다.
- 포토 플로(Photo Flo)
이 용액은 물의 표면장력을 줄여 필름이 건조하는 동안 물방울 얼룩을 막아준다.
이것은 또한 수용액을 유제 표면에 잘 스며들게 해주기 때문에 칼라 스포팅이나 칼라링에도
유용하게 쓰인다. 희석비율은 1:200으로 희석하여 30초간 담군 후 건조한다.
-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
최종 인화지가 은이 아니고 화학염료로 이루어진 흑백 필름으로 현상은 칼라네거와
같은 C-41로 해야한다. 이 필름은 관용도가 우수하며 같은 필름에서 각 프레임마다
서로 다른 감도로 노출이 가능한 필름으로 보통 5Stop이상의 관용도를 가지며
아그파의 Vario-XL (125, 200, 400, 800, 1600)
일포드의 XP-1, XP-2 (50, 100, 200, 400, 800)가 있다.
- 포트 폴리오(Portfolio)
원래는 증권 용어이며 자신의 창작품을 타인에게 보여주기위한 견본.
- 풀 스케일 인화(Full scale printing)
순 백색에서 다양한 회색 톤을 거쳐 검정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색상과 명암이
나타나도록 하는 인화 작업을 말한다.(계조가 풍부한 사진)
- 프레 발광(Pre-發光)
실내와 같은 곳에서 인물 촬영시에 셔터 버튼을 누를 때 내장 스트로버가 적목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연속적으로 "예비 발광"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을 올림프스에서는
'프레발광(Pre-발광)이라고 하고, 이 방식을 AUTO-S모드라고 부르고 있다.
한편 AF 1안리프에서 피사체가 어두우면 거리 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근적외선에 의한
'AF보조광'을 피사체 쪽으로 쏘게 되는데 캐논에서는 이것을 '프레 발광'이라고 부른다.
또 AF카메라 전용 스트로버를 천정이나 벽과 같은 곳에 바운스 라이팅을 할 경우에
스트로버에 대한 노출 측정을 위해서 약하게 예비 발광하는 것도 '프레 발광'이라고 한다.
니콘 : 이미지 마스터 콘트롤이 스피드 라이트에 정보를 제공하여 고감도 LED 패턴 빔(Beam)을
발광 올림퍼스 OM 77 : 프레 익스포주어 포커싱 빔(pre-exposure focusing beam) 프리즘
하우징 자체에 프레 익스포주어 포커싱 패턴(pre-exposure focusing pattern)
- 표준렌즈(Normal lens)
사용하는 필름의 대각선 거리와 비슷한 초점거리로 35mm 풀사이즈의 표준렌즈는 약 50mm이다.
원근감이나 시각등이 인간의 시각과 비슷하고 각종 렌즈중 가장 밝다.
- 프레임(Frame)
사진 액자나 이미지의 가장자리 또는 롤 필름의 한 컷의 이미지를 지칭하는 말이다.
- 프레밍(Framing)
촬영당시 화면을 들여다 보면서 구도를 잡는것으로 가장 신중해야한다.
- 프레어(Flare)
렌즈나 카메라의 내부에서 빛이 분산되거나 반사되어 사진 이미지에 나타나는 불필요한
광선의 흔적을 말하며 사진이 선명하지 않고 희뿌옇거나 조리개 무늬의
고스트 이미지(ghost image)가 나타난다.
- 프로그램 셔터
노광량에 대해 미리 입력된 셔터나 조리개 값으로 촬영되는 방식이다. 이것은 노광량이
EV 값으로 대응되기 때문에 노광량이 적으면 조리개가 개방되거나 셔터속도가 느려지고,
많으면 조리개가 넓어지거나 셔터속도를 빨리해 자동노광 되도록 한 방식을 말한다.
이것은 간혹 셔터속도가 느려지거나 조리개가 개방되어 흔들리거나 심도가 얕은 사진이
되기도한다. * 멀티프로그램 셔터 : 프로그램셔터 방식에서 나아가 셔터나 조리개중
어떤 하나를 중시하여 움직이는 물체를 고정시키거나 피사체의 심도를 조절하기도
하는 프로그램 변경 방식.(듀얼 프로그램)
- 프로그램 리셋 버튼(Program reset Button)
탁상용 계산기의 "올 크리어(ALL Clear)"버튼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 버튼으로 카메라에
내장된 CPU에 키-버튼을 이용하여 각종 명령을 셋트하였을 경우에 지시된 명령들을
한번에 크리어 하기위한 버튼을 말한다. 카메라에서는 모든 기능을 취소하는것이 아니라
촬영모드만을 "프로그램 모드"로 복원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리셋 버튼"이라고 한다.
- 프로필 (Profile)
주로 인물의 옆 얼굴을 말하나 자신의 특징적인 모습을 남에게 보여주기위한 사진.
- Presoak
물현상이라하여 현상전에 필름에 물을 적셔주어 현상액이 잘 스며들게 해주는 과정으로
탱크속의 먼지제거는 물론 적당한 수온을 유지해 주면 형상 탱크의 온도유지에도 도움을 준다.
- 플래쉬 바
한쪽면에 5개씩 양면에 10개의 플래쉬 벌브를 장착하여 한번에 1개씩 10번 발광할 수 있는
플래쉬로 주로 폴라로이드 카메라에 주로 쓰인다.
- 플래쉬 벌브
섬광전구, 또는 벌브라고도 함. 소형 전구에 알루미늄 선과 산소가 들어있어 필라멘트에
점등했을때 순간적으로 타면서 강한 광선을 낸다. 이것은 1회용이고 타는 시간에 따라
AG벌브, 피넛(땅콩)벌브, 플래쉬 큐브가 있다. 칼라용은 청색으로 되어있다.
- 플래쉬 큐브(Flash Cude) / 매직 큐브(Magi Cude)
약간 다름 그러나 매우 비슷함. 입방으로 된 4면에 반사갓과 함께 초소형 벌브(AG형)가
내장되어 있고 셔터와 동조되어 발광시 90도 회전하여 4번 발광 할 수 있다.
- 플러드 라이트(Flood light)
상대적으로 넓고 확산된 광선이 발생되도록 설계된 조명 기구를 말한다.
- 피사계 심도
피사체를 중심으로 앞 뒤로 선명하게 나오는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피사체와 거리가
멀 수록 초점거리가 짧은 렌즈일수록 조리개를 조일수록 피사계심도는 깊어진다.
- Ph액성
액체의 산도 즉 산성,알칼리성을 말하며 PH7이 중성이며 이보다크면 알칼리 작으면 산성이다
- PC렌즈(Perspective Control), 쉬프트 렌즈(Shift), TS 렌즈
뷰 카메라에서 주로 사용되는 카메라 무브먼트를 35mm 일안 리프렉스카메라에서도
그 효과를 부분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렌즈인데, 이 렌즈는 렌즈군을 광축에 대해
직각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어서 라이즈, 폴, 쉬프트 등을 이용하여 왜곡된
원근감이나 피사계심도를 조절을 할 수 있다.
여기에는 PC Nikon 28mm, Canon TS(Tilt & Shift)등이 있다.
- Pic-to-graph
35미리 120 필름용 카메라의 액정 판넬에 표시되는 심벌 기호를 말한다. 이 액정 판넬에는
각종 모드가 그림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쉽게 판단 할 수가 있다. 메이커에 따라서
'그래픽 디스프레이', '심벌 마크', '그래픽 심벌'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 필름의 발명
영국의 과학자인 "탈보트"에 의하여 1834년 종이를 식염수에 담갔다가 건조시킨 후
질산은 용액으로 처리, 그 위에 나뭇잎 등의 평평한 물체를 놓고 햇빛에 직접
노출시키는 방법으로 이미지를 얻었다. 그는 이렇게 얻은 영상을 "Photogenic Drawing"이라
명명하였으며 이런 방법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오늘날의 사진 현상 인화 방법의 네가티브,
포지티브 이론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 필름홀더(Film holder)
빛이 차단되어 낱장의 필름을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중형 카메라나
뷰 카메라에 사용된다.
..
- 하로
달 주위에 달무리가 생기듯 사진에 있어서 어떤 실상의 주위에 달무리와 같은 허상이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 하이라이트(Highlight)
피사체, 필름, 인화된 사진화면에서 가장 밝은 부분을 말한다.
- 하이포(Highpo)
티오황산나트륨 등 모든 정착액을 통칭하는 말이다.
- 하이포 제거제(Highpo clearing agent)
일명 "하이포 중화제(Highpo neutralizing agent)"이라고도 한다. (세척촉진제 참조)
- 할레이션 (Halation)
화각내에 해나 전등과 같이 강한 광선이 있으면 필름 감광면에 빛이 닿고 필름 베이스면에
반사하여 다시 필름 유제면을 감광시켜 그 해나 전등의 둘레에 둥근원을 만드는 것을
할레이션이라 한다. 이러한 할레이션 현상을 막기위해 필름 베이스에 색소를 섞은 젤라틴을
발라 빛을 흡수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것을 할레이션 방지막(Halation Backing)이라 한다.
- 할레이션 방지막
암갈색이나 암자색 암적색등의 색소를 혼합한 젤라틴을 필름 베이스 뒷면에 발라
할레이션 현상을 방지하는 젤라틴층으로 이 할레이션 방지층은 정착액 속에 있는
무수 아황산소다에 의해 용해된다. 필름 베이스면 한쪽면에 유제만을 발라두면 필름의
컬링 현상이 생기기 쉬운데 유제가 칠해진 반대쪽 베이스면에 할레이션 방지층을
도포함으로써 이런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 할로겐화 은
빛을 받으면 검게 변하는 환원성(還原性)을 띄는 은입자를 말하며
1) 염화은(AgCl): 감도가 낮아 밀착 인화지에 사용된다.
2) 취화은(AgBr): 감도가 염화은에 비해 빨라 필름과 브로마이드(확대용) 인화지에 사용된다.
3) 옥화은(AgI) : 단독으로 사용하지 못하며 염화은이나, 취화은에 첨가되어 감도를 높이는
효과를 낸다.
- 포괄력(Covering power)
렌즈가 읽어 내는 초점면의 앞 뒤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이미지의 선명도는 렌즈의 종류와
성능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으며 망원렌즈의 경우 표준렌즈나 광각렌즈보다 포괄력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 핫 슈(Hot shoe,Cordless contact shoe)
카메라 악세사리 슈에 후렛쉬 촬영용 논 코드접점을 부착한 것을 말한다. 그리프에 싱크로
접점이 있는 스트로버는 별도의 코드 접속없이 카메라에 끼우는 것만으로도 접속이 되므로
최근에는 핫 슈가 표준 사양으로 부착되어 있다. '다이렉트 콘택트 슈'라고도 한다.
- 행거(Hanger)
암실작업시 탱크에 낱장의 필름을 처리할 때 필름을 고정시키는 도구를 말한다.
- 허상(Virtual Image)
물체 AB로 부터의 광선은 오목 렌즈를 통과하면서 분산되어 물체의 반대쪽에 초점을
맺지 못한다. 그러나 분산된 이 광선을 각각 반대 방향, 즉, 물체가 있는 쪽으로
곧 바로 연장해 보면, 물체와 렌즈와의 사이에 광축과 수직을 이루는 A'B'라는 정립상을
맺게 된다. 그러나 이 상은 실제의 상이 아니기 때문에 오목 렌즈를 통해서 물체 AB를
보게 되면 물체가 허상 A'B'의 위치에 실제로 핀트 글라스를 갖다 놓아도 영상이 실재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오목 렌즈에 의한 상을 허상이라고 부르며,
볼록렌즈에 의한 상처럼 거꾸로 서지 않고 정립되어 있기 때문에 "정립정상"이라고도 한다.
오목 렌즈와 볼록 렌즈를 조합하여 복합 렌즈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체가
볼록 렌즈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실상이 맺쳐지게 된다. 그리고 광휘 물체를 촬영하거나
역광촬영시에 강한 광선이 렌즈로 들어가는 경우에는 구성 렌즈군내의 플레어에 의해
고스트 이미지(Ghost Image)라고 하는 허상이 생기기도 한다.
- 화각
렌즈의 제2주점에서 필름의 대각선에 이루는 각도로 망원렌즈에서는 화각이 좁고
광각렌즈로 갈수록 넓어진다.
- 확대(Enlargement)
일반적으로 필름상의 이미지 크기보다 인화된 이미지의 크기가 더 크게 마련이다.
그래서 우리는 인화작업의 한 과정으로 필름상의 이미지를 원하는 크기의 영상으로
"확대"하는 것이 보통이다.
- 확산(Diffusion)
흐린 날의 광선상태와 같이 광선이 작은 먼지나 안개(작은 물방울) 등과 같은 매질로 인하여
산란된 상태를 말한다. 또한 스튜디오 촬영시 유산지나 트레싱지로 광원을 가림으로서
확산광을 얻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직접광 보다 소프트한(부드러운) 사진을 얻을 수 있다.
- 황금분할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구도법으로 목적물을 화면상에 1:1.5 내지 1:1.6위치에
배치시켜 한쪽 공간이 다른쪽 공간보다 많이 차지하게 하는 것.
- 회색카드(Gray card)
노출계는 18%의 회색 톤을 노출의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노출계의 정확한 수치를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카드를 말한다.
- 희석도
원액에 가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 액의 농도를 짙게 해주면 현상속도가 빠르고
콘트라스트는 강해지며 현상액을 묽게하면 현상속도가 느려지며 화상은 연조가 된다.
희석액을 사용하면 원액을 사용할 때보다 암부묘사가 뛰어나 다양한 계조를 나타낸다.
현상시간에 따른 농도의 변화가 서서히 이루어짐에 따라 안전하고 정확한 현상을 할 수 있다.
- 후광(Back lighting)
피사체의 뒤에서 카메라를 향해 비치는 조명이나 빛을 말한다.
- 후방초점(Rear nodal point)
렌즈의 초점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렌즈속의 한 점을 말한다,
'Study > Came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림푸스 카메라 동영상 강좌 사진 배우기 (0) | 2009.12.26 |
---|---|
CANON DSLR 카메라 동영상 강좌 (0) | 2009.12.26 |
[스크랩] 디카의 조작법 (0) | 2009.12.11 |
디카배우기 (0) | 2009.07.12 |
DSLR카메라 ‘풀프레임’ 3각 경쟁시대 돌입 (0) | 2009.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