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2/03/02 23:58
http://blog.naver.com/kohaku3533/140153783411
니콘의 강력한 1:1 풀프레임 DSLR D800의 출시에
그동안 나온다 나온다 말만 무성하고 아무 소식없던 캐논이
5D MARK2의 후속인 캐논 5D MARK3를 발표했습니다.
기존 캐논 5D MARK2와 거의 차이없는 외관을 가지고 있으며
마그네슘 마디로 제작되었으며 기본적인 방진 방습기능을 제공합니다.
가장 여러분들이 궁금해 하던 화소수는 2230만화소로
기존 캐논 5D MARK2의 2110만화소보다는 올라갔으나
가장 강력한 라이벌인 니콘 D800의 3630만화소나
곧 등장할 소니의 새로운 1:1 풀프레임 DSLR의 3600만화소보다는
떨어지는 화소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ISO를 기본25,600, 확장 102,400까지 지원하는 고감도 기능과 이로 인해
빠른 셔터속도를 확보할수 잇다는 점입니다.
이 고감도 지원 부분이 캐논 5D MARK3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이며 초당 연사속도를 6매까지 키운
새로운 DIGIC5+는 기존 DIGIC4에 비해 17배 가까운 빠른 이미지 처리 능력을 지녔습니다.
후면부 LCD액정은 3.2인치 104만화소로
니콘 D800의 92만화소 3인치보다 커서
즉석에서 사진을 확인할때 조금은 더 유리한 부분이 있네요.
또한 항상 캐논 5D MARK2에서 불만으로 여겨지던 AF축거점을 대폭 늘리고 보강해
총 61개의 AF포인트를 지녀 움직이는 물체나
광범위한 부분의 피사체에 대한 AF성능을 높였습니다.
특히 올해 풀프레임 DSLR시장은
디지털 카메라 시장에서 강력한 다크호스로 부상되고 있는
소니의 풀프레임 DSLR까지 가세할 것으로 보여
바야흐로 캐논 5D MARK2가 일방적으로 이끌던
풀프레임 DSLR시장에 춘추전국시대가 펼쳐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모든 제품은 만져봐야 알겠지만
화소수는 거의 그대로이고 초 고감도로 재무장한 캐논 5D MARK3와
3630만화소의 강력한 화소수와 바디 성능으로 무장한 니콘 D800
소니의 새로운 풀프레임 DSLR까지 등장하는 2012년은
미러리스 디지털 카메라와 더불어
풀프레임 DSLR의 열풍이 불것으로 예상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인물 사진보다는 제품사진과 자동차 사진
음식 사진을 많이 찍는 편이라
동화적 느낌이 강한 캐논 보다는 사실적인 니콘 D800으로 기울고 있는데
소니의 1:1 35mm DSLR도 무척 궁금해 지는 순간입니다.
캐논 5D MARK3는 새로 출시된 24-70L렌즈와
좋은 궁합을 이룰것으로 보이구요.
국내 판매가는 캐논 5D MARK3 바디 본체만 400만원 초반대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캐논 5D MARK3의 고감도 성능을 과시하는
샘플 사진들을 보며 글을 맺도록 하겠습니다.
(오두막에 비해 압도적이고 월등한 고감도성능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입니다.)
제발 철푸덕 하는 오두막의 셔터음을 좀 개선해 나왔으면..
사진 출처
니콘에 이어 캐논도 프로형 바디에서 1DX에 이어 5D MARK3를 발표 했습니다. 그동안 소문으로 돌던 캐논루머스의 예상 스펙이 대부분 맞더군요. 1DX는 기존에 미국에서 열린 라스베가스 CES에서 잠깐 만져보고 왔지만 스펙으로 보면 측광 부분을 제외한 1DX에 거의 근접한 풀프레임 바디가 될거 같습니다.
화소수는 2230만으로 니콘의 D800의 3600만 화소와 비교하면 작지만 연사에 있어 니콘 D800보다 우위에 있습니다.
기존의 오두막 5D MARK II 보다 조금 화소수가 올라 갔습니다.
이번에 나오는 5D MARK III의 주요 특징을 보면
약 2,230만 화소의 풀 프레임 CMOS 센서를 탑재하여 고화질, 고화소의 이미지 촬영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새로운 DiGiC 5+ 이미지 프로세서가 탑재되어 초고감도를 사용한 촬영에서도 저노이즈의 우수한 결과물을 보여주며 이전 엔진인 'DIGIC 4'보다 약 17배, 'DIGIC 5'보다는 약 3배 빠른 이미지 처리를 합니다.
상용 감도 ISO 100~25,600과 더불어 확장 감도 선택시 50~102,400의 초저감도에서 초고감도 ISO를 지원(동영상 촬영 시에는 상용 감도 ISO 100 ~ 12,800 / 확장 시 25,600까지 지원) 고감도를 활용하면 빠른 셔터 속도를 확보할 수 있어 촬영 시 손떨림 또는 피사체의 빠른 움직임에 의한 흔들린 이미지 발생을 억제 할 수 있습니다.
광범위, 고밀도의 61포인트 AF시스템이 탑재되어 자유로운 구도 설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EF 렌즈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합니다. 또한 F4.0 렌즈에 대응하는 41포인트의 크로스 측거점을 통해 더욱 정확한 AF 사용이 가능하며 F2.8 렌즈에 대응하는 중앙 5포인트의 듀얼 크로스 측거점이 피사체를 더욱 정밀하고 정확하게 포착해냅니다.
5D Mark III의 동영상 촬영 규격 입니다. 29분 59초까지 가능 합니다.
- 약 100% 시야율을 위한 인텔리전트 뷰파인더
- 3.2인치, 약 104만 화소(3:2 와이드) 클리어 뷰 LCD Ⅱ
- 63영역 듀얼 레이어 센서를 갖춘 iFCL 측광
- 듀얼 카드 슬롯(CF & SD)
AF 측거점 연동 스팟측광이 안된다는 점과 인텔리전트 뷰파인더는 1DX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지만, 측광분할이 다르고 스크린 옆에 표시가 안되는 점이 여전히 아쉬운 부분이 될거 같습니다. 측거점 연동 스팟측광이 필요하면 결국 1DX로 가야할거 같습니다. 그리고 바디의 외형을 보면 많이 동글동글한 느낌을 주네요. 개인적으로 캐논은 앞으로도 1D급이 아니면 스팟연동 측광은 계속 지원을 하지 않을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5D MARK III 외형.
사진상으로 볼때 외형은 이전 보다 더 동글동글한 느낌을 주는데 사용자에게 제일 중요한건 가격인데 현재 3499$로 측정되어 발표 했습니다. 니콘 D800과 500$ 정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일본 가격을 보면 1DX랑 비교하면 국내 판매가는 400만원 이상으로 예상하고 있더군요. 가격대는 사실 좀 부담감이 느껴질 가격대 입니다. 오늘 제품이 공개되면서 5D Mark3로 촬영한 샘플이미지가 일본에 올라왔네요.
5D MARK III로 촬영한 이미지는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 합니다. 원본 다운이 가능 합니다.
http://cweb.canon.jp/camera/eosd/5dmk3/samples/index.html
이미지 인용과 출처 : 캐논 코리아 홈페이지 http://www.canon-ci.co.kr
http://www.canonrumors.com/2012/03/5d-mark-iii-full-spec-list/
[Review/CAMERA] - 니콘 세계 최고화소의 DSLR D800,D800E 발표 차이는 ?
[ 캐논 신제품 / EOS 5D Mark3 ] EOS 5D Mark3 욕심난다.
얼마 전 많은 분들이 기다리고 궁금해 하던 EOS 5D Mark3 가 출시되었다..
캐논의 EOS 5D Mark2는 오두막이라는 애칭으로 불릴 정도로 큰 인기를 얻은 카메라다.
EOS 5D Mark 2는 DSLR 최초로 Full HD 동영상 촬영 기능을 탑재해 사진뿐 아니라 영상 분야에서도 아주 많은
주목을 받았다.
스팩 만 봐서는 5D Mark2를 월등히 능가하며 다음달 출시 될 EOS 1DX에 버금가는 스팩을 가지고 있다.
새로운 EOS 5D Mark 3는 약 2,230만 화소의 신형 CMOS센서와 신개발 이미징 프로세서 DIGIC 5+를 통해 정지
영상과 동영상 촬영 성능 모두 향상됐다.
이미징 프로세서 DIGIC 5+를 통해 이미지 처리속도가 크게 향상되었기 때문에 이전 엔진인 ‘DIGIC 4’보다 약 17배,
DIGIC 5보다는 약 3배 빠른 처리속도를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EOS 5D Mark3는 약 2,230만 화소의 풀 프레임
바디임에도 동급 최고 수준인 초당 약 6매의 연속 촬영을 구현했다.
상용 감도는 ISO 100~25,600을 지원하며, ISO 102,400까지 확장이 가능해(동영상 촬영 시 상용 최고 감도
ISO 12,800, 확장 시 ISO 25,600까지 가능) 빛이 매우 부족한 환경에서도 촬영이 가능하다. 감도뿐만 아니라
EOS 5D Mark 3 의 ISO 25,600 설정 시 노이즈는 이전 모델의 ISO 6,400 노이즈 수준과 동등할 정도로 고감도
촬영 시 노이즈 제거 성능도 개선되었다.
5D Mark2 에 비교해 가장 크게 진보한 성능은 AF(Auto Focus)성능과 정확한 노출 설정을 위한 측광 시스템이다.
EOS 5D Mark3는 캐논의 플래그십 DSLR 카메라 EOS 1D X와 동등한 AF 성능을 발휘한다.
61포인트 고정밀 AF(61-Point High Density Reticular AF)가 그것으로 이를 통해 빠르고 정확한 피사체 포착이
가능하다. 61개 중 41개의 포인트에는 F4.0 렌즈에 대응하는 크로스센서를 적용해 보다 정밀한 촬영을 돕는다.
또한 63 분할 듀얼 레이어 측광 센서가 탑재된 iFCL(lntelligance Auto Focus Color Luminance)시스템으로
고정밀 측광과 ±5 스탑까지 노출 보정이 가능해졌다.
EOS 5D Mark3는 동영상 촬영에서도 비약적인 발전이 눈에 띈다. 신형 CMOS 센서를 통해 동영상 촬영 시 발생
하는 모아레 현상을 대폭 감소시켰으며, 고감도의 동영상 촬영에 있어서도 저노이즈를 구현해 고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녹음 레벨을 수동으로 64단계로 조정할 수 있으며 새롭게 본체 측면에 헤드폰 단자를 탑재해
녹음 상태를 확인하면서 촬영이 가능하다. 동영상 사일런트 설정 기능을 탑재해 동영상 촬영 중에 설정을 변경할 때
발생하는 조작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동영상 촬영 후 결과물을 쉽게 편집할 수 있도록 세부적인 기능도 탑재했다. 고화질 동영상 편집을 위해 타임코드를
지원하고, 편집에 최적화 된 ALL-I 방식과 메모리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IPB 압축방식을 지원한다.
그리고 동영상 촬영 시 4GB 분량마다 파일이 자동 분할 저장 되어 최대 29분 59초간 멈춤이 없는 쾌적한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EOS 5D Mark3는 약 15만회의 내구성 실험을 거친 셔터를 장착하였으며, 마그네슘 합금 바디를 장착해 견고함을
높였다. 또한, 3종류의 RAW파일(RAW, M-RAW, S-RAW)을 지원한다. 여기에 CF카드와 SD카드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는 듀얼 슬롯을 장착해 대용량으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촬영의 쾌적함을 위해 시야율 약 100%의 광학
뷰파인더와 함께 촬영한 결과물을 깨끗하고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와이드 3.2형 104만 도트 LCD도 갖췄다.
EOS 범용 GPS 리시버인 ‘GP-E2’를 장착하면 사진의 메타 정보에 촬영 위치 및 촬영 방향 등의 위치 정보가 기록된다.
예전에는 카메라 바디에 대해서는 그리 욕심이 없었는데
EOS 5D Mark3를 보니 욕심난다~~~~~~~
EOS 5D Mark3와 EOS 5D Mark2 외형디자인 비교
EOS 5D Mark3 / EOS 5D Mark2 / EOS 1D X 주요스팩 비교
사진출처 : 캐논 컨슈머 홈페이지 http://www.canon-ci.co.kr
http://dc.watch.impress.co.jp/docs/review/impression/20120307_516825.html
'Study > Came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논 EOS DSLR 발매 연보 (0) | 2012.04.07 |
---|---|
캐논 5D Mark3 신제품 발표 가격 429만 (0) | 2012.03.20 |
캐논~ (0) | 2012.01.28 |
CANON DSLR 카메라 동영상 강좌 (0) | 2012.01.14 |
눈 사진(설경 사진) 찍는 법 (0) | 2012.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