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라 & へ山行
Study/Camera

풀칼라발란스 CBL LENS

by 유리의 세상 2009. 1. 19.

 

 

 

풀칼라발란스 CBL LENS

 

 

 

 

---------- 아래 비교사진은 니콘나라에서 실제 촬영한 사진입니다. ----------










신개념 신기술의 CBL Lens

CBL Lens는 풀 컬러 밸런스를 정확하게 맞춰 줌으로서 뛰어난 계조 (Gradation) 선명한 해상도 (Resolution) 놀라운 선예도 (Sharpness)의 풀 컬러 촬영이 됩니다.

CBL Lens24비트 (2의24승)의 1,670여만 픽셀의 7,200여 색상의 Full Color Balance를 Control 하도록 고안된 신개념의 신기술입니다.

CBLLens 의 구성 (Configuration)

CBL Lens는 화학물리학(Chemical Physics) 전자공학(Electronics)을 바탕으로 연구되어 어떠한 광원의 조건에서도 "풀 컬러 밸런스"를 정확하게 컨트롤하여 디지털 촬영장비로 하여금 원색의 이미지를 얻도록 하는 신기술로서 세계최초로 개발되어 발명특허 된 렌즈 조립체입니다.

CBLLens의 집광 렌즈(Condense Lens )

하우징의 집광범위에서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없는 광원까지 모으는 기능이며, 렌즈 표면의 미세한 물결무늬의 굴절은 난 반사를 막아주기 위하여 고도의 화학물리학(Chemical Physics) 기술로 고안되었습니다.

콘덴서렌즈는 빛의 집광 율, 집광 량, 투과율 등을 화학물리학(Chemical Physics)과 전자공학(Electronics) 을 바탕으로 많은 연구와 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Full Color Balance 가 맞춰진 데이터를 만들도록 발명된 신기술입니다.


렌즈하우징, 믹스보드, 반사렌즈, Refraction

렌즈하우징, 믹스보드, 반사렌즈, 후면 커버(Refraction) 등은 13가지 원색 을 선정한 후 감색 법(Subtractive Color Mixing) 과 가색 법(Additive Color Mixing) 의 원리를 응용하여, 당사에서 고안한 신소재와 믹스시켜 수차례 고도의 열을 가하여 고밀도 입자로 고체화 시킨 후 각 각 의 부품 생산에 사용 됩니다.

모아진 광원을 믹스시키는 믹스보드 역시 13가지색상을 선정하여 고열로 고체화 시킨 입자를 다양한 각도의 “프리즘”(Prism) 형태로 성형하였고, 성형과정에서의 화학반응을 계산하여 광범위한 색분해를 하였고, 색 분해된 미립자는 연속스펙트럼(Continuous Spectrum)을 만드는 것입니다.

연속스펙트럼(Continuous Spectrum)은 반사렌즈와 결합하는 동시에 더욱더 많은 량의 파장 (방출스펙트럼, Emission Spectrum)이 만들어 지도록 고안된 신기술입니다.

광범위한 연속스펙트럼(Continuous Spectrum) 과 방출스펙트럼(Emission Spectrum) 나노미터(nm)로 계산되어 Full Color Balance를 정확하게 맞춰주는 신기술입니다.

Full Color Balance 가 맞춰진 Data 는 디지털 촬영장비의 CCD & CMOS 센서에 방출되도록 하여 원색의 컬러 이미지로 촬영 되도록 하는 신기술입니다.

CBL Lens로 풀컬러 밸런스 (Full Color Balance) 를 세팅 할 때 카메라 렌즈와 간격이 떨어져도, 거리가 먼 곳의 광원도, 망원렌즈 사용 시 에도, 일출(日出), 일몰(日沒), 다양한 복합광원, 교회당, 예식장 등 어떠한 환경에서도 정확하게 풀컬러 데이터로 원색 사진을 촬영 할 수 이유는 광범위한 스펙트럼 컨트롤 기술이기에 가능한 것입니다.

 


다양한 “프리즘”(Prism) 기능을 하도록 고안된 CBL Lens는 광범위한 연속스펙트럼이 만들어짐과 동시에 반사렌즈와 결합되면 더욱 많은 방출스펙트럼 만들어 집니다.

이를 나노미터로 계산하여 Full Color Balance 가 맞춰진 광범위한 방출스펙트럼자연방출 되도록 한 것이 CBL Lens 의 핵심 기술입니다.

풀 컬러 밸런스가 맞춰진 광범위한 방출스펙트럼은 디지털카메라, ENG 카메라, 캠코더 등 다양한 디지털 촬영 장비에 광범위하게 자연 방출하도록 하여 원색의 생생한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하는 첨단 기술이며 세계최초 발명특허 된 신기술입니다.


기본적인 이론 (Fundamental Theory)

  1. 빛 (Light) 이란?
    모든 색상은 광원 ‘빛’ 에 의하여 만들어지며, 빛 이란 입자, 파동, 질량 이면서 에너지이고, 빛의 파장은 나노미터로 표시 되며, 나노미터는 1/100만mm이고, 1초당 10억 사이클로서 사람이 구분 할 수 있는 빛의 파장 (스팩트럼 )은 대략 380nm-700nm이며, 구분 할 수 없는 적외선은 (적색) 자외선은 (남, 보라색)의 끝 부분에서 파장이 형성됩니다.

  2. 사람의 빛 (색상)을 인식하는 것.
    사람의 눈은 사물을 볼 때 눈동자 뒤 쪽 의 망막에 상이 맺히며 망막은 간상체+추상체의 두 가지 시신경의 지각체로 구성되었습니다.

    “간상체” 는 빛에 민감한 반면 사물을 세밀하게 파악하는 능력은 부족 하며. 색상에 대한 반응은 스펙트럼 끝(380nm)부분의 청색부분은 비교적 예민하게 반응하지만 다른 색상 들은 둔하게 반응합니다.

    반면, 추상체는 망막의 작은 부분에 모아져 있으며 사물의 형태 및 색상과 거리등을 파악하는 능력은 간상체에 비하여 예민하고 민감합니다.

  3. 색상. 채도(Chroma, Saturation)
    색상의 ‘진, 하고 엷음을 나타내는 뜻으로 원색에 가까운 것을 채도가 높다고 표현합니다.
    즉, 같은 ‘적색, 중에서도 강하고 선명한 색상 표현을 ‘채도’ 가 높다고 합니다.

    한가지의 색상 중에서 가장 채도가 높은 색을 그 색상 중의 “정통 순색” 이라고 하며, 반면 검정색 및 하얀색은 채도가 없으므로 무채색이라고 합니다.

    보라색, 남색, 노랑색, 오렌지색, 빨강색, 파랑,청록, 황록색, 8가지 색은 스펙트럼 영역에 집중 되는 색상이며 외의 많은 색상들에는 번호가 붙여져 세계 적으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4. 명도(Luminosity & 광도, Brightness)
    피사체(물체)를 흑, 백. 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서 흰색을 명도10. 검정색을 0으로 하고, 그 중간의 색상 단계 (회색 단계) 를 10등분한 후 차례로 번호를 매겨 비교하여 유채색등 모든 색의 명도(밝기)를 정합니다.

    흑, 백.사진의 존 시스템 이론이며, 중, 간 부분 5의 중, 회색을 근거로 18%그레이카드가 만들진 것이다. (그레이카드의 회색, 백색. 은 화이트밸런스의 기준으로 되어 왔습니다)

    (위를 기본으로 화이트밸런스(그레이카드 & 백색 아크릴 소재)를 설정하도록 한 방식으로는 계조 등은 물론, 정상적인 컬러 이미지를 얻기가 어렵기 때문에 외면되고 있는 것입니다.)

  5. 프리즘 (Prism)
    프리즘은 대체적으로 삼각형으로 빛을 굴절시켜 다양한 빛의 스펙트럼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프리즘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므로 CBL Lens 개발에 이용된 프리즘 중에서 기술 보안성과 관련 없는 몇 가지만 설명을 합니다.

    ① 분광프리즘 : 빛을 분산시켜 스펙트럼을 발생 시킵니다.

    ② 편광프리즘 (Double Refraction) : 직선편광을 얻으며, ‘방해석, 수정’ 등. 복, 굴절성 소재로 만들어 집니다.

    ③ 전반사 프리즘 : 모아진 빛의 방향을 바꿔주는 것으로 45°의 면으로 빛을 입사하여 임계각도 (약 42°) 을 넘게 한 후 전반사를 하도록 하여 빛의 방향을 90°또는 180° 로 바꿔주는 과정에서 엄청난 스펙트럼이 발생되는데 발생된 스팩트럼을 (색)나노미터로 계산합니다.

    ④ 니콜프리즘(Nicol Prism) : 위와 같이 복, 굴절성을 이용하여 자연광원에서 편광을 얻는 것입니다.

    CBL Lens는 위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프리즘을 적용시켜 성형된 기술로서 다양한 각도의 삼각라인 프리즘과 각 각 다른 각도로 굴절 된 홈’에서의 ‘전자기파’에 의해 광범위한 스펙트럼이 발생합니다.

  6. 전자기파 와 자기장

    ‘전자기파’는 광원이 굴절(프리즘)에 의해 빛이 여러 가지 색상으로 나뉠 때 나타나는 색상의 배열로서 그 파장 내지 진동수에 따라 나누어지면서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자기장” 은 프리즘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이고. “전기장”은 변화하는 자기장을 만들어 냅니다.

    전기장과 자기장은 크기가 변하면서 자기장과 전기장이 같은 통로로 전파되는 현상을 "전자기파" 라고 하며, 전자기파의 파형은 횡 파, 자기장파는 수직입니다.

    CBL Lens는 전자기파 와 자기장파 를 생성하여 광범위한 파장 (Spectrum) 을 만듭니다.
    믹스보드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횡, 형의 ‘전자기파장’과 수직 형의 ‘자기장파장’은 CBL Reflect Lens(반사렌즈) 결합하면서 광범위한 방출스펙트럼(Emission Spectrum) (자연방출) 이 만들어 집니다.


    CBL Lens 믹스보드와 반사렌즈에 의하여 풀컬러 밸런스가 정확하게 맞춰진 광범위한 방출 스펙트럼을 촬영 장비에 자연 방출하여 어떠한 광원의 환경에서도 그러데이션, 샤프니스, 레솔루션이 생생하게 살아있는 원색으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CBL Lens 후면 (Refraction) 의 경우도 각 라인과 문자의 패턴이 프리즘 역할을 하도록 고안 되었습니다.

    부품소재 역시 특수한 발광 소재로 광범위한 방출스펙트럼을 생성하며, 생성된 스펙트럼 을 촬영장비에 자연 방출하도록 고안된 첨단 기술입니다.


    아래의 의 설명은 일반적으로 응용되고 있는 1개의 프리즘에서 발생되는 스펙트럼을(파장) 나노미터로 주파수(Hz)를 계산한 것입니다.

    색상 나노미터(파장)
    주파수(Hz)
    색 상
    나노미터(파장)
    주파수Hz
    적색(빨강)
    800-650
    400-470
    오렌지색
    640-590
    470-520
    녹 색
    530-490
    590-650
    청 색
    480-460
    650-700
    남 색
    450-440
    700-760
    보 라 색
    430-390
    760-800

    아래의 표는 단 1개의 프리즘으로 발생되는 스펙트럼(파장=색상) 으로 생성되는 파장 을 설명한 것이며, 현재에도 일반적으로 많이 응용되고 있는 이론입니다.


    7. CBL Lens의 프리즘 파장(주파수)은 위와 다르게 매우 광범위합니다.
    CBL Lens의 기술로 고안된 프리즘 색 재료는, 감색법(Subtractive Color Mixing)과 가색법 (Additive Color Mixing) 의 원리를 응용 13가지의 색상을 믹스하여 높은 열을 가하여 미세한 입자로 고체화 시키는 과정에서의 화학 반응을 계산하면서 원색을 분해시켜 아래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프리즘이 고안되어 광범위한 스펙트럼이 만들어 지도록 고안된 고도의 신기술입니다.

    CBL Lens의 프리즘 아래 형태 모두가 풀라인을 형성되어 모든 광원을 집광된 모든 광원을 광범위하게 굴절시켜 스펙트럼 를 만든 후 풀 컬러를 컨트롤 합니다.



    CBL Lens 후면 (Refraction) 의 경우도 각 라인과 문자의 패턴이 프리즘 역할을 하도록 고안 되었고, 소재역시 특수한 발광소재로 광범위한 방출스펙트럼을 생성하며, 스펙트럼을 자연 방출하도록 하는 첨단 기술로입니다.
    스튜디오의 스트로보 촬영 시 정확한 풀 컬러 데이터를 만들어 주며, 약간 따뜻한 사진 (감성사진)을 원하실 경우 세팅하시면 됩니다.

[저작권 안내]
- 창신카메라에서 제작한 제품정보(이미지포함)의 저작권은 창신카메라에 있습니다.
- 상업성을 띄지않는 개인, 단체의 경우 출처를 밝혀주시는 것만으로 사전동의 없이 이용 가능합니다.


- 창신카메라의 사전동의 없는 상업적 자료이용은 금지합니다.

 

 

 

 

.

'Study > Came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otoWORKS   (0) 2009.01.20
접사의 묘취(妙趣)   (0) 2009.01.19
일출과 일몰 촬영 | 사진 촬영   (0) 2009.01.19
일출, 일몰잘찍는법 | 사진 잘찍는 요령   (0) 2009.01.19
사진용어 해설   (0) 2009.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