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라 & へ山行
Study/Three Kingdoms Of China

[스크랩] 삼국지(一龍分二虎)

by 유리의 세상 2009. 2. 18.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일룡분이호(一龍分二虎)?

 

 

이 이야기는 유비와 장비의 고향인 탁주에서

그 지방의 토박이 주민들 사이에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탁주성 외곽의 도장(桃莊)이라는 곳에서

대대로 살아온 장비는,

원래 돼지고기를 취급하는 식육 해체업자(도살장)로,

천하의 호걸과 교제하기를 좋아하여

언제나 한 덩어리의 고기를,

문 앞에 낡은 우물속에 넣어두고,

천근이나 나가는 커다란 돌로 덮어놓고

 

돌에다가 <이 덮개를 여는 사람은,

속에있는 고기를 가져가도 좋다.

돈은 필요 없음.>이라고 써 놓았다.

 

어느날, 불그레한 얼굴의 남자가,

수레를 끌고 지나가다가 돌에 쓰여있는 글을 읽어보더니

곧 덮개를 열고 고기를 꺼내어 가지고

유유히 성안으로 사라져버렸다.

 

집으로 돌아온 장비는 그 이야기를 듣더니,

얼른 곡물 시장으로 그의 뒤를 쫓아갔다.

과연 불그레한 얼굴을 한 몸집이 큰 남자가 녹두를 팔고 있었다.

장비는 그앞에 서서 갑자기 녹두를 손에쥐고,

손안에서 부수어 가루를 내 보였다.

 

장비의 이런 도발적인 행동은 녹두장수인 남자의 화를 돋우어,

이내 말다툼을 하던 끝에 서로 치고받는 싸움을 하게 되었는데,

양쪽이 다 천근을 들어올리는 힘이 센 장사여서

승부가 나지를 않았다.

 

이때에 나타난 것이 짚신장수,

그의 몸집은 그리 크지 않았으나,

단정한 용모에 양쪽 귀가 어깨까지 늘어져 있었다.

 

두 사람의 사이를 가르고 들어온

그는 두 사람의 팔을 붙잡고 들어올리며,

<사나이는 무릇 나라를 위해 힘을 써야만 하는 법,

어찌하여 그대들은 이렇듯 작은일에 분개하는가>하고 말했다.

 

두 사람은 깜짝 놀라 손을 떼었다.

주위에 서서 구경하던 사람들은

짚신장수에게 일제히 갈채를 보냈다.

두 사람은 크게 감동하고,

세 사람은 서로 공수(拱手-중국식 절의 하나로

공경의 예를 표하기 위하여 두 손을 마주 잡음)의 예를 올리고,

서로의 이름을 밝혔다.

 

짚신장수는 유비,

불그레한 얼굴을 한 커다란 몸집의 남자는 관우였다.

관우는 산서(山西)사람으로 의리로 인하여

그 지방 토박이인 악당을 죽이고 뛰쳐나온지 6년,

이때에 탁주로 녹두를 팔러왔던 참이었다.

세 사람은 싸움과 중재로 알게 되었기 때문에 이 이야기를

<한 마리의 용이 두 마리의 호랑이를 갈라놓다>라고

하는 말로 전하고 있다.

                                         (삼국지외전에서)

 

.

출처 : 龍 雲(칠득이)
글쓴이 : 칠득이 원글보기
메모 :

'Study > Three Kingdoms Of Chi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삼국지(유비)  (0) 2009.02.18
[스크랩] 삼국지(조조2)  (0) 2009.02.18
[스크랩] 삼국지(망매해갈)7  (0) 2009.02.18
[스크랩] 삼국지(읍참마속)  (0) 2009.02.18
[스크랩] 삼국지(계륵)  (0) 2009.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