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를 클릭하시면 그 내용을 볼수 있습니다)
년도 |
주 요 사 건 |
고사성어 |
155년 영수원년 |
-한(漢) 영수(永壽) 개원(改元). -조조(曹操), 패국에서 출생. |
[공통전략] 비득불용 비위부전 비리부동 상옥추제 타초경사 순수견양 욕금고종 이일대로 혼수모어 주위상 지상매괴 원교근공 진화타겁 치수법 양금택목 |
158년 연희원년 |
-연희(延熹) 개원. |
161년 연희04 |
-유비(劉備), 탁군에서 출생. |
167년 영강원년 |
-영강(永康) 개원. -환제(桓帝) 붕어. 영제(靈帝) 유굉(劉宏) 즉위. |
168년 건녕원년 |
-건녕(建寧) 개원. |
172년 희평원년 |
-희평(喜平) 개원. |
자고개유사 |
175년 |
-조조, 효렴으로 천거. 유비 노식에게 사사. |
회자정리 |
178년 광화원년 |
-광화(光和) 개원. |
|
179년 광화02 |
-사마의(司馬懿), 하내군(河內郡)에서 출생. |
팔달지부 |
181년 광화04 |
-제갈량(諸葛亮), 낭야군(낭야郡)에서 출생. |
|
182년 광화05 |
-손권(孫權), 오군(吳郡)에서 출생. |
부저추신 |
184년 중평원년 |
-중평(中平) 개원. -태평도의 지도자 장각의 반란(황건적의 난). -기도교위 조조, 황건적과 싸우다. -유비, 관우, 장비의 도원결의, 황건적과 싸움. -황보숭(黃甫嵩), 주전(朱儁) 황건의 난 평정 |
혼일사해 박람강기 교왕과정 월단 월단평 난세지간웅 도원결의 일룡분이호 금적금왕 수상개화 호가호위 |
185년 중평02 |
-최열(崔烈)이 관(官)을 매수 -환관 13명이 황건 평정의 공으로 열후에 봉해짐. -동탁(董卓)이 양주(凉州)의 난을 토벌 |
호위평니중 |
188년 중평05 |
-서원팔교위(西園八校慰)을 둠. -원소(袁紹),조조(曹操) 상군교위 건적에 소속 -황건의 난이 다시 일어남. |
독서백편의자현 |
189년 광희원년 소녕원년 영한원년 |
-4월 광희(光喜) 개원. 영제 붕어 -소제(少帝) 유변(劉辯) 즉위, -하태후(何太后)가 섭정 -6월 소녕(昭寧) 개원. -대장군 하진(何進), 동태후(董太后)를 살해. -대장군 하진, 십상시에게 살해. -원소, 십상시의 환관을 죽이고 기주로 도주 -동탁, 낙양에 입성. -9월 영한(永漢) 개원. -동탁(董卓), 소제 폐위 진류왕 유협 옹립[헌제(獻帝)] |
논공행상 개문읍도 |
190년 초평원년 |
-초평(初平) 개원. -군주들, 거병하여 반동탁 동맹군(연합군) 결성. -2월 동탁, 장안으로 천도강행, 선제(先帝) 살해 |
망천지시 수명어천 |
년도 |
주 요 사 건 |
고사성어 |
191년 초평02 |
-손견(孫堅), 동탁 격파하여 낙양으로 입성 -동탁, 장안으로 입성 -제후연합군 해산. |
반신역당 영아부인 우도할계 |
192년 초평03 |
-여포(呂布), 4월 왕윤의 계략에 걸려 동탁을 살해. -조조, 청주 황건군을 항복시키고 청주병을 결성. -원소, 계교(界橋)에서 공손찬을 물리침(계교전투) -손견, 11월 유표(劉表)와 전투에서 전사. -장남 손책(孫策) 계승. -이각, 곽사의 난 발생. |
미인계 절영지회 절천야차 천계일봉 권의지계 만천과해 |
193년 초평04 |
-조조의 부친 조숭(曹崇), 도겸의 부하에게 피살. |
보수설한 |
194년 흥평원년 |
-흥평(興平) 개원. -2월 조조 서주공격. 유비 도겸을 돕다. -도겸이 병사하자 유비 예주자사 겸 서주목 됨 |
병귀신속 이호경식 |
195년 흥평02 |
-여포, 거록에서 조조에게 패하고 유비에게 의지. -헌제 낙양으로 가다. |
기각지세 원문사극 |
196년 건안원년 |
-건안(建安) 개원. -조조 대장군이 됨. -조조, 수도를 허도로 옮기고 사공(司空)이 됨. -유비, 여포에게 패하고 조조에게 투항. |
구호탄랑 회귤고사 표리부동 독서삼여 |
197년 건안02 |
-원술, 수춘(壽春)에서 황제칭제, 국호 중가(中家) |
왕좌지재 삼방순욱 천재일우 |
198년 건안03 |
-조조, 원술을 치다. -조조, 여포를 토벌후 참수. (하비전투) -유비, 헌제를 배알. -조조로 부터 하비성을 되찾음 -손책, 주유와 노숙을 얻고 강동을 손에 넣음. |
법불가우존 도회지술 견벽청야 대용약겁 투서기기 매림지갈 망매해갈 |
199년 건안04 |
-정월, 유비 조조 암살에 실패. -유비, 조조로 부터 하비성을 되찾음 -유비, 조조에게서 탈출하여 원소에게 의탁 -원소, 공손찬(公孫瓚)을 격파하여 하북 점령. |
종호귀산 교룡입해 홍문연회 유군명불수 |
200년 건안05 |
-조조, 동승(董承)을 사살 -관우, 조조에게 항복, -관우, 원소군과 싸워 안량(백마전투), 문추(연건전투)를 베다. 그 후, 유비에게 돌아가다. -조조, 관도(官渡)에서 원소 격파(관도전투). -손책 죽고 손권(孫權)이 뒤를 잇다. -정현(鄭玄), 사망. |
관공삼약 신은구의 미염공 낭중취물 의불부심 단기천리 오관육참 |
년도 |
주 요 사 건 |
고사성어 |
201년 건안06년 |
-조조, 원소격파, 여남(汝南)에서 유비격파 -유비, 조조에게 패하고 형주 유표에게 의지 |
병불염사 도리상영 도시 시재현상 비육지탄 권토중래 |
202년 건안07 |
-원소 병사(病死). 작은 아들 원상 승계. |
차도살인 |
203년 건안08 |
-조조, 원상(袁尙)과 원담(袁譚) 형제 격파. |
격안관화 |
204년 건안09 |
-조조, 원상.원담을 이기고 기주를 평정 (하북평정) |
창서칭상 만전지책 |
205년 건안10 |
-조조, 원담(袁譚)을 참수. -원상과 원희(袁熙)는 오환족 의탁. -장연(張燕) 흑산(黑山)의 적, 조조에 투항 |
방촌이란 식자우환 |
207년 건안12 |
-조조, 공신으로 봉해짐, -조조, 오환족 토벌. 오환족 원상.원희 참수. |
호호선생 청경우독 복룡봉추 |
208년 건안13 |
-유비, 삼고의 예로 제갈량을 군사로 맞이함. (삼고초려) -조조, 스스로 승상이 되다. -유표 죽고, 유종이 뒤를 잇다. -조조, 유종을 항복시키고 형주를 점령. |
삼고초려 삼고지례 교룡득수 풍운어수 수어지교 누세통가 좌상객상만 중니불사 복소지란 소향무적 천역순유대체 |
-유비, 조조에 패함. 장판에서 추격을 받아 강하로 패주. (장판파전투) -유비, 손권과 동맹, |
일기당천 일신시담 간뇌도지 |
-9월 유비.손권연합군, 황개 고육지계로 조조군 격파. (적벽대전 赤壁). |
격장지계 강노지말 복로파관 고곡주랑 고육지계 반간계 연환계 생자당여중 돈견 무학지배 수인사대천명 |
209년 건안14 |
-유비, 형주남부의 4군을 평정. -유비, 형주의 목(荊州牧), 손권의 여동생을 아내로 삼다. |
백미 남선북마 오하아몽 수불석권 괄목상대 |
210년 건안15 |
-유비, 손권과 형주를 두고 싸우다. -조조, 동작대(銅雀臺)를 완성시키다. -12월, 손권의 군사 주유 죽고 노숙이 후임이 되다. |
가도멸괵 기생유하생량 당랑포선 |
년도 |
주 요 사 건 |
고사성어 |
211년 건안16 |
-유비, 방통(龐統)을 군사로 얻다. -유비, 유장에게 환대받으며 익주입성. -조조, 관중에서 마초와 한수를 물리침. |
백리지재 위세지기 질뢰불급엄이 할수기포 |
212년 건안17 |
-손권, 건업으로 넘어가다. -10월 순욱 자결 -유비, 12월 촉의 요충지 점령. -유비군, 유장과 불화로 유장 공격. |
유군자초 |
213년 건안18 |
-조조, 위공(魏公)이 되다. -유비, 성도로 진격, -오씨(손권의 여동생) 속아서 오(吳)로 돌아감 -방통, 낙봉파(落鳳坡)에서 전사. |
충신불사이군 |
214년 건안19 |
-마초, 유비에게 항복하다. -유비군, 성도(成都) 공략. -유비, 익주의 목이 되다. -손권, 유비에게 형주 반환 요구. -유비, 12월 손권과 형주를 두고 대립. |
북거조조 족하불사 |
215년 건안20 |
-유비, 손권과 상수(湘水)를 경계로 형주 분할. -조조, 딸이 황후가 됨. -조조군, 장노를 이기고 한중점령 (양평관전투). -손권군, 조조군 합비를 공격하나 패함 (합비전투). |
득롱망촉 담소자약 |
216년 건안21 |
-조조, 스스로 위왕(魏王)이 되다. -유비, 조조와 한중을 놓고 혈전 |
대기만성 노생상담 |
217년 건안22 |
-유비, 장비와 마초를 보내 한중 침공. -손권, 군사 노숙 죽고 여몽이 후임(대도독). -손권, 조조에게 화친을 청함. |
단두장군 |
219년 건안24 |
-유비군, 양평관에서 조조군(하후연) 격퇴. (정군산전투) -유비, 7월 한중 평정, 한중왕(漢中王)이 되다. -조조, 10월 손권 동맹. |
삼팔종횡 반객위주 거주양난 절묘호사 계륵 단도부회 |
-관우, 강릉에서 출격하여 양양을 빼앗고 번성을 공격 (번성전투). -관우, 조조군과 관계맺은 손권군에게 강릉을 빼앗기다. -관우, 관평과 함께 손권의 여몽에게 패하고 참수되다. (맥성전투). -손권, 형주를 점령하다. -여몽, 12월에 죽다. |
명령지자 세한지송백 사면초가 배수지진 |
220년 연강원년 황초원년 |
-촉(蜀) 연강(延康) 개원. -정월, 조조 죽고 조비(曹丕) 제위. -위(魏) 황초(黃初) 개원. -조비, 헌제 폐위 황제(문제) 즉위하여 위 건국. -헌제를 산양공(山陽公)에 봉함. (후한멸망). -위, 3품중정(三品中正)의 제도 실시 -조비, 12월 낙양으로 천도하다. -위의 재상 진군, 구품관인범을 정하다. -유비, 황충(黃忠) 사(死) -조비, 하후돈(夏侯惇) 사(死) |
침어낙안 폐월수화 명모호치 문장경국지대업 여중지왕 내조지공 골육상쟁 칠보지재 자두연두기 차재두량 |
년도 |
주 요 사 건 |
고사성어 |
221년 황초02 장무원년 |
-유비, 성도에서 제위, 촉한 건국.(장무원년) -제갈량, 촉의 승상이 되다. -유비, 오토벌군을 일으키다. -장비(張飛), 7월 부하에게 암살되다. -손권, 8월 위와 제휴하여 오왕(吳王) 됨. |
교절무악성 명령지자 |
222년 황초03 장무02 황무원년 |
-유비, 3월 오를 정벌하러 감. -유비, 육손에 대패(이릉전투), 백제성으로 패주 -손권, 위와 제휴를 끊고 오를 건국.(황무개원) 삼국정립 |
백면서생 |
223년 황초04 건흥원년 황무02 |
-유비, 4월 백제성에서 죽고 유선(後主) 즉위. -촉, 오와 동맹을 맺다. |
언과기실 불칭요수 조지장사 진복론천 |
224년 황초05 건흥02 황무03 |
-조비, 오를 공격하나 대패(유수구전투). |
언출위론 |
225년 황초06 건흥03 황무04 |
-제갈량, 남쪽 정벌, 운남방면 평정. (익주, 허창 등을 평정) |
공심위상 토사호비 칠종칠금 |
226년 황초07 건흥04 황무05 |
-조비 가복전(嘉福殿)에서 죽고, -조예(曹叡, 明帝)가 뒤를 잇다. |
|
227년 태화원년 건흥05 황무06 |
-제갈량, 출사표(出師表), 위 공격개시. -위의 강유(姜維), 촉에게 항복하다. -제갈량, 남안·천수·안정 3군을 평정. |
노둔 국궁진췌 부지소운 방압득봉 위급존망지추 침불안석 |
228년 태화02 건흥06 황무07 |
-제갈량, 기산으로 진출(제1차북벌). -사마의, 신성에서 맹달(孟達)을 참수. -마속, 위의 사마의에게 대패하다 (가정전투). -제갈량, 마속(馬謖)을 참수. -오의 육손, 위의 조휴 격파 (석정전투). |
노익장 빙고시하 치지사지 읍참마속 공성지계 탄금주적 귀사물엄 읍참마속 |
-제갈량, 후 출사표, 진창 포위(제2차북벌). |
미우주무 난공불락 출기불의 |
229년 태화03 건흥07 황룡원년 |
-위나라 종묘(宗廟) 완공. -제갈량, 무군과 음평 2군을 평정(제3차북벌). -손권, 황제 칭제, 황룡 개원, 건업(建業) 천도. -위 + 오, 천하 2분(二分)을 약속 -조운(趙雲) 사망. |
육출기산 |
230년 태화04 건흥08 황룡02 |
-조진(曹眞)과 사마의에 촉나라 토벌 조칙. -위군, 한중 침공하나 기후불량으로 철퇴 (제4차북벌). |
반골 |
년도 |
주 요 사 건 |
고사성어 |
231년 태화05 건흥09 황룡03 |
-조진 사망. 제갈량의 북벌 격퇴. -제갈량, 기산을 포위(제5차북벌). |
집사광익 |
232년 태화06 건흥10 가화원년 |
-가화(嘉禾) 개원. |
신상필벌 |
233년 청룡원년 건흥11 가화02 |
-위, 청룡(靑龍) 개원. -공손연(公遜淵), 손권이 파견한 사자를 벰. -삼국지(三國志)의 저작자 진수(陳壽) 출생. -오, 요동(遼東)의 공손연에게 사자 파견. |
양상군자 난형난제 |
234년 청룡02 건흥12 가화03 |
-산양공 유협 사망. -제갈량, 오장원에 진출(제6차북벌). 둔전(屯田). -제갈량, 8월 오장원(五丈原)에서 병사. |
관문착적 금선탈각 식소사번 모사재인 사제갈능주 수화불상용 |
235년 청룡03 건흥13 가화04 |
-사마의, 태위(太尉)가 됨 |
|
237년 경초원년 건흥15 가화06 |
-위(魏) 경초(景初) 개원. -공손연(公孫淵), 위나라에 반기. 연왕이라 칭. |
|
238년 경초02 연희원년 적오원년 |
-사마의, 요동의 공손연을 토벌하고 요동 평정. -위, 중국 동북지역을 지배하에 둠 -연희(延熙) 개원. -적오(赤烏) 개원. |
|
239년 경초03 연희02 적오02 |
-위, 사마태국의 여왕 비미호의 조공을 받다. -정월 조예(명제) 죽고 양자 조방(齊王)이 제위. -사마중달과 조상(曹爽)이 보필하다. -장완, 촉의 대사마가 되다. |
|
240년 정시원년 연희03 적오03 |
-정시(正始) 개원. |
|
245년 정시06 연희09 적오09 |
-관구검(貫丘儉), 고구려(高句驪) 재차 공격. -오의 육손, 죽다. -촉의 장완, 죽다. |
|
249년 가평원년 연희12 적오12 |
-가평(嘉平) 개원. -사마의가 대장군 조상일파를 처단. 조정 재집권. -사마의, 위의 승상이 되다. -위의 하후패(夏侯覇), 촉에 항복하다. -강유, 제1차 북벌 출정. |
난득호도 가치부전 대지약우 |
년도 |
주 요 사 건 |
고사성어 |
251년 가평03 연희14 태원원년 신봉원년 |
-사마의 죽고, 사마사가 뒤를 잇다. -오, 정월, 태원(太元) 개원. -오, 2월, 신봉(神鳳) 개원. |
|
252년 가평04 연희15 건흥원년 |
-손권 죽고, 막내 손량(廢帝) 제위. |
남전생옥 |
253년 가평05 연희16 건흥02 |
-촉의 강유, 제2차 북벌 사마소와 전투. (철룽산전투). |
|
254년 정원원년 연희17 오봉원년 |
-정원(正元) 개원. -사마사(司馬師), 위제(조방) 폐위 제왕(齊王)으로 하고, 문제의 손자 고귀향공 조모를 옹립 -오봉(五鳳) 개원. |
|
255년 정원02 연희18 오봉02 |
-사마사, 1월 관구검, 문흠 반란평정. -사마사, 2월 죽고 사마소가 대장군 되어 뒤를 잇다. -강유, 제3차 북벌 시도. -손준(孫峻), 수춘(壽春)에서 제갈탄에게 패함. |
호부견자 |
256년 감로원년 연희19 태평원년 |
-감로(甘露) 개원. -강유를 대장군에 명함. -강유, 제4차 북벌 시도. -태평(太平) 개원. |
|
257년 감로02 연희20 태평02 |
-5월, 사공(司空) 제갈탄 반란을 일으킴. -손일(孫壹), 위나라에 투항함. |
|
258년 감로03 경요원년 영안원년 |
-사마소(司馬昭), 2월 부장 제갈탄의 반란 평정. -사마소(司馬昭), 5월 진공(晉公)이 됨. -경요(景耀) 개원. -강유, 제5차 북벌 및 제6차 북벌 시도. -영안(永安) 개원. -손침(孫침), 손량 폐하고 낭사왕 손휴(景帝)제위. -손침 처형. |
|
260년 경원원년 경요03 영안03 |
-경원(景元) 개원. -사마소, 5월 조모 살해, 연왕 우(宇)의 아들 상도향공 조조의 손자 조환(元帝)을 옹립. -강유, 제7차 북벌 시도. |
|
262년 경원03 경요05 영안05 |
-강유, 제8차 북벌과 제9차 북벌 시도. |
순망치한 |
263년 경원04 염흥원년 영안06 |
-사마소, 진공(常國晉公)이 되다. -위군 종회(鍾會)와 등애(鄧艾), 촉한 침공. -염흥(炎興) 개원. -11월 촉의 후주(유선) 위에 항복.(촉한멸망) |
이화초흥 |
264년 함희원년 - 원흥원년 |
-함희(咸熙) 개원. -등애, 사(死) -종회, 촉에서 반란, 곧 토벌됨. -사마소, 진왕(晉王)이 됨. -강유, 죽다. -사마소, 진왕(晋王)이 되다 -원흥(元興) 개원. -7월에 경제 손휴 죽고 손권의 손자 오정후 손호 즉위. |
박면피 |
265년 태시원년 - 감로원년 |
-태시(泰始) 건원. -사마소 죽고 12월 사마염(司馬炎)이 뒤를 잇다. -사마염, 제위(武帝) 진 건국(위 멸망). -감로(甘露) 개원. -오, 무창(武昌)으로 천도 |
|
266년 태시02 - 보정원년 |
-보정(寶鼎) 개원. |
낙불사촉 |
270년 태시06 - 건형02 |
-안락공(安樂公) 유선, 낙양에서 죽다. |
|
년도 |
주 요 사 건 |
고사성어 |
271년 태시07 - 건형03 |
-진, 오를 공격함. |
|
272년 태시08 - 봉황원년 |
-봉황(鳳皇) 개원. |
|
275년 함녕원년 - 천책원년 |
-함녕(咸寧) 개원. -천책(天冊) 개원. |
|
276년 함녕02 - 천새원년 |
-천새(天璽) 개원. |
|
277년 함녕03 - 천기원년 |
-천기(天紀) 개원. |
|
278년 함녕04 - 천기02 |
-진, 양호(羊祜) 죽고, 두예(杜預) 진남대장군 됨 |
좌전벽 |
279년 함녕05 - 천기03 |
-왕준(王濬)과 두예(杜預), 오나라 공격. |
파죽지세 |
280년 태강원년 - 천기04 |
-태강(太康) 개원. -진장·왕준, 오의 요충 석두성을 공략. -손호, 진군에 항복하다 (오 멸망) -사마씨의 진, 3월에 천하통일(天下統一) 위업 달성. -진, 점전법(占田法)과 과전법(課田法) 시행 |
|
284년 태강05 |
-귀명후(歸命侯) 손호, 낙양에서 사망. |
옥하가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