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해운대 장산
간비오산~옥녀봉~중봉~장산
억새밭~장산폭포~폭포사~대천공원
|
1.일시; 2009년 4월19일
2.산행지; 부산의 2봉 해운대 '장산'
3.산행코스; 간비오산~옥녀봉~중봉~장산~억새밭~장산폭포~폭포사~대천공원
4.날씨: 따뜻한 봄날
5.함께한 산님:4050한마음산우회 5명
하모님, 황색표범님,산바람님, 상궁님 그리고 へ山行
6.산행시간:09:25~16:00(6시간30분:점심포함)
7.함께한 시간 :7 시간
8.코스별 도착 출발시간 :널널산행으로 생략

1차 정기산행을 부산에서 제일높은 금정산 고당봉 801.5미터를 다녀오고
2차 정기산행은 부산의 제2봉 해발 634 미터의 장산으로 갑니다.
09:00 해운대 동백역 2번출구.....


미리내님과 게스트를 기다리며 25분을 기다립니다.
결국 예식장 참석차 오지못함을 확인하고
들머리로 산행시작합니다.
오늘은 시간이 많고 어느 등로든 탈출이 가능하므로
널널산행이라고 하나,미리 연락이 안되어 여러사람이 기다려서 떱떱한 마음으로....

들머리...
곧 나타나는 터널과 흡사한 등나무....
커다란 포도송이 모양 아름다은 자태를 자랑하는듯
기분이 상쾌합니다.

부산 !!
부산은 산이 많다는 뜻인 부산(富山)에서 유래를 ?을 수 있습니다.
1402년(태종 2) 1월 28일『태종실록』에 富山이라는 명칭이 처음 보이며,
『경상도지리지(1425)』『세종실록지리지(1454)』에 "동래부산포(東萊富山浦)"라 하였고,
이때의 부산포는 ''부자 富''를 사용하였습니다.
1470년(성종 1년) 12월 15일자의『성종실록』에
釜山이라는 명칭이 처음 나타난다고 합니다.
가마꼴의 산은 오늘날 동구 좌천동 뒤에 있는 증산(甑山)을
시루산이라고 하는데 시루〔甑〕와 가마〔釜〕는 같은 취기(炊器)로
금속성의 가마가 나오기 전에는 동일한 구실을 하였던 것으로 추측하며...
옛날 외국의 배들이 부산으로 들어올때 솥뚜껑모양 시루봉을 보고
항로 안내를 받아서 솥뚜껑 부(釜)의 부산으로 불렀다고들 합니다.
가모(可牟)·감〔枾〕은 가마를 즉 「가마〔釜〕」를 뜻하는 것으로
가모령·감(枾, 嶺)은 우리나라의 방언을 한자로 차용한 것으로
가마재·가마고개〔釜峙〕 즉 부산재(고개)를 의미하는 것이라 합니다.




봉수대가 있는 '간비오'산...
봉수대의 설명도 재미있고
변방의 까마귀 날아 오르는 산 이런 뜻으로 추측되는데...
봉수대를 보면 왜구들이 수없이 들락거리던 변방인듯도 합니다.


돌탑과 안내표지를 뒤로 하고
옥녀봉으로 향합니다.



등로를 잘 못들어 중봉과 옥녀봉 중간 능선에서..
다른산님은 휴식하고 상궁님과 둘만 다녀 옵니다.
급히 도장만 꾸~욱 !!! 다시 중봉으로 향합니다.





중봉에서 각자 독사진 한 컷 하시고...


중봉에서 장산으로 !!!
몇일전 일어났던 산불로 수령 20년이상이나 되어보이는
상당한 그루의 소나무를이 화마가 지나간 흔적을 남기고 있습니다.
파랗던 가지가 다 말라 버리고
산불이 얼마나 무서운것인지 말해주는듯,


단체사진....

장산의 건국신화를 보면
태곳적 해운대 장산 기슭 장자 벌에
고 선옥(高 仙玉) 처녀가 홀어머니 모시고 토담집에 살았다고 합니다.
어느날 소나기 한줄기가 지나가고 쌍무지개 다리가 나타나더니
무술이 뛰어나고 지혜 밝은 한 선인이 무지개를 밝고 내려와
사방을 둘러보니 이곳의 풍광에 넋을 잃고 있을 때
마침 어디선가 불어오는 분향기에 취하여 따라가 보니
홀어머니와 함께 사는 고 선옥(高 仙玉)을 만나
선인은 냉수 한 대접을청해 받고
물 사발에 담겨지는 처자에 반하여
색시로 삼아 해운대와 처음 인연,
첫 부부가 되어 장산(?山)의 정기 받아 아들, 딸 십여 명 낳고
스무곳 마을 이루어 안씨, 정씨, 박씨, 이씨, 김씨, 최씨 성을 정하고
선인은 대 족장으로서 스무 부락 다스리며
장산국이라는 나라를 세웠다고 한다.
이러한 장산국을 세워 통치하다
세월 흘러 옥황상제의 부름 받아 선인은 하늘나라로 가고
선옥할미 혼자 장산의 혼으로 남아 그리움 달래가며
오늘도 산 구름을 쫓고 살고 있다고 합니다.
옥황상제의 부름 받아 올라간 선인은
그 뒤 영영 소식 없이 돌아오지 않고 홀로된 고 선옥은
영감바위에 올라 한없이 기다리며
장승처럼 서 있다가 안개처럼 사라졌다고 합니다.
그 후, 씨족들은 바위를 깍아
상여바위에 묘를 만들어 오래도록 영혼을 달래 모셔왔으며,
지금은 제반왕 바위, 영감할매 바위, 상여 바위 되어
장산 허리 사는 마을 지켜 궂은 일 몰아내는 수호신이 되었다고 합니다.
고 선옥(高 仙玉)의 넋을 기리기 위하여 사당을 세워 대보름마다
고당할미 제사 지내며 첫술 밥 떠 ‘고시례’(高氏禮)라 하며
예를 올리면 아들 없는 아낙네는 옥동자를 낳고
영감 할매 바위에 정성을 올리면 부부 정이 한없이
두터워 진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산에서 음식을 먹기 전 ‘고시례’(高氏禮) 하며 음식 떠 던지는
예가 여기서부터 생겼다고 함.
(시인 김 광자의 시집 “해운대 아리랑”에서 발췌)

군부대 울타리안으로
진짜 장산의 정상이 보입니다.
현재 민간인은 출입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정상에서 점심을 먹고
억새밭을지나면....
산 등성이에 장산마을이 보입니다.

오늘의 하산주는 이곳에서
상큼한 김치와 두부한모....
그리고 시원스레 탁~쏘는 듯한 부산명물 생탁입니다.



곳곳에 산재한 너들경과 주위 풍광을 뒤로하고


산림욕장 약수터에서도
단체사진 한컷 !!!


일전 내린비로 양운폭포는
거울같은 맑은물을 가득안고서 마음껏 뽐을 내고있고



폭포사에 도착합니다.






경내에는 새봄을 맞아 향기가 진한 라일락과 더불어
꽃 잔치를 벌이고 있는듯 합니다.



이어 산행날머리....
해운대 신시가지가 있는 대천공원입니다.
오늘산행은 여기서 마감되고
초등후배 금시당 이사장님을 만나 산바람님과 광안리로 이동합니다.


광안대교가 잘 내려다 보이는 8층 멋이 풍기고 전망만점 횟집입니다.
싱싱한 회 두접시와 C1으로 두번째 하산주를 즐기고
알~콜 덕분으로 산행기록이 하루 늦어졌습니다.
부산에 30년 이상 살고 있지만
부산의 제 2봉'장산'을 첨으로 다녀온 날 입니다.
자리를 만들어주신 4050 한마음 산우회장님께 감사를 드리면서
へ山行이 올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