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리산 동릉
사모봉~입석대~신선대
청법대~문장대~시어동
|
o 일시: 2012.4.28(토) o 날씨: 맑음
o코스: 화북 면사무소~사슴농장 입구~사모봉~입석대~신선대~문장대~쉰바위~시어동매표소
o 거리: 약 14 km o 참석: 수요산들산악회 그리고 엄상궁과 へ山行
o 산행시간 :약 8시간 00분
|
시 각 |
구 간 |
거 리 |
시 간 |
속 도 |
|
06:10~08:40 |
덕천ic→오씨묘 지나 |
0.0km |
0;00 |
고속도로 &국도 |
|
06:25 덕천ic
09:17 화북면사무소
09:30 사슴농장 입구
09:53 백천조씨 묘지
10:08 전망바위
11:26 사모봉 |
| |
|
12:00~12:30 |
중식(오씨묘 지나) |
- |
0:30' |
- |
|
12:30~17:30 |
오씨묘 지나 →주차장 |
00.0km |
0:00' |
0.00/km |
|
13:10 서 전망바위
13:23 동 전망바위
14:30 안돌이 바위
14:45 입석대
15:10 신선대
15:35 청법대
15:50 문장대
16:24 쉰바위
16:40 오송폭포
15:15 매표소
17:27 주차장
18:28 주차장 출발 |
|
|
|
18:28~21:40 |
주차장→학장 |
0.0km |
0:00' |
0'00"/km |
|
19:20 석식(선산 백두산)
19:50 식당출발
20:50 덕천ic
21:40 학장 |
| |
|
종 합(산행) |
|
14km |
7:00' |
2.0 km/hr |
|
|

(속리산 주변의 산)

(산행지도)

아침 아홉시가 조금 넘어 화북면사무소 앞 도착 !
국립공원 관계자가 지키고 있어 다시 승차

조금위에 있는 문장대 사슴농장 입구를 들머리로
알바가 아닌 자원한 알바구역이 되었습니다.


작은산 하나를 넘어 도착한 백천조씨 할머니 묘
겨울이 지나는가 하였는데 한여름 이라 아웃도어는 배낭에 넣고....

속리산 동릉은 입석대(1,003m)에서 상주 화북면 어항리로 뻗어 내린 능선으로 속리산 주능선과
밤티재∼문장대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그리고 서북릉(문장대∼묘봉∼활목고개)을 제외하고는
속리산에서 가장 긴 지능선으로
능선 상에 여러 개의 봉우리가 솟아 있고 양옆으로 펼쳐지는
백두대간의 시원한 조망을 함께 즐길 수 있으며
바위구간이 많아 암릉 산행의 묘미를 만끽할 수 있습니다.

토요산행에 몇번 참석 하니
이제 몇몇 동료 산님 닉도 서로 물어보기도 하고~


우람한 암릉을 빙빙 돌고 돌아서

로프구간의 재미도 솔솔 하고
코스도 짧은 편이라, 후미 조금 앞에서 널널산행으로

어여쁜 꽂님도 잡아보고

여유롭게 쉬기도 하고~
수요산들의 토요산행이 아닌듯도 합니다.ㅋㅋㅋ

중간 도로 끝부분이 2월 다녀온
백두대간 속리구간 날머리 갈령입니다.
일행은 모두 비재로 가시고 상궁님과 둘이만 탈출하였던 곳 !!!

왼편이 도락산과 시루봉, 오른편이 도장산

흔들바위 인지, 딸기 바위 인지...

봄내음이 솔솔한 점심도 30분 씩이나 즐기고~
컵라면 하나 들고 갔는데 덕분에 횡재 하였습니다.
솔향기님 그레고리님 사가부님 목련님 잘 먹었습니다,


속리 동릉은 암석 전시장 같습니다.

수술바위 ?
큰 수술 자국이 있는 '대 수술바위' 님이신지~

배낭 벗고 통과하는 통천문 ^
문의 형상은 아니지만

가슴으로 안고 돌지 않으면 건널 수 없는 안돌이 바위
상궁님이 벌벌떨었던 유일한 바위 ㅎㅎㅎ

입석대 바로 앞의 전망 바위에서.....

입석대 ^^*

산수유리지 능선의 시작점
청법대(1,018m)에서 화북면 시어동의 성불사쪽으로
뻗은 바위 능선으로 칠형제봉 능선이라고도 합니다.


올 2월에 다녀갔던 백두대간 구간으로
익숙한 구간 입니다.

신선대에서 팔고 있는 신선주와 감자전으로
목도 축이고 ~

산수유리지는 1994년∼1995년에 걸쳐
충북과 경북의 산악인들이 개척한 코스로
이 코스를 개척하던 중 김선주라는 분이 40m직벽에서 추락하여
선주벽(할미봉)이라고 이름이 붙고 추모동판도 있다고 합니다.
추모 동판의 "산수유 필적에∼∼"라는
내용을 본 따서 산수유리지라고 명명되었다고 하고
최근 산수유리지 암벽을 좌, 우로 우회하는 산행 길도 개척되었다고 하는데...

들머리가 햇갈려 들어 가지 못하고
조금 망서리다 문장대 방향으로 ~
칠형제봉은 다음으로 기약 합니다.

속리산은 웅장하고 신령한 정기가 있어 인간의 세속으로는 따를 수도 표현할 수도 없다고 하여
예로부터 "속세를 떠난다"는 뜻의 속리(俗離)라고 불렀고....


속리산은 한국팔경의 하나로
8봉,8대,8석문이 있습니다.
8봉은 천황봉(天皇峰 1,058m)을 중심으로 비로봉(毘盧峰 1,032m), 길상봉(吉祥峰),
문수봉(文殊峰 1,031m)보현봉, 관음봉(985m), 묘봉(874m), 수정봉이고

8대는 문장대(文藏臺), 입석대(立石臺), 신선대(神仙臺),
경업대, 배석대, 학소대, 봉황대, 산호대,
8석문은 내석문, 외석문, 상환석문, 상고내석문,
상고외석문, 비로석문, 금강석문, 추래석문 이라는데
언제 다 둘러 볼 수 있을런지~


하산하며 중단체로...

쉰바위 옆의 소나무 ^

화북 주차장으로 쭈~욱 !!!





내려오며 봄꽂 몇점 ^^^

우리산님 모시고 부산으로 갈 버스도 만나고
후미 한시간여 기다려 선산 백두산 식당으로 ~



김치찌게 달게 한그릇 비우고
잠을 청합니다.
일요일 전북 장군봉(將軍峰)산행을 신청하여
오늘 산행기는 여기서 마무리 하고
멋진 산님 많이 만나 좋은 코스 한바퀴 잘 하였습니다.
공지된 칠불봉은 아쉽지만
다음을 기약 하면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