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감상 / 이백. 두보. 왕유
한시(漢詩)를 말할 때 당연히 당시(唐詩)가 우선 거론된다.
초당(初唐)의 대표적 시인으로는 사걸(四傑)로 불린 왕발(王勃)·양형(楊炯)·노조린(盧照린)·낙빈왕(駱賓王)을 들 수 있는데, 이 시기의 시는 외형의 미를 다루는 남조시풍(南朝詩風)의 계승면이 강하고, 시의 운율을 다듬어 근체시(近體詩-絶句, 律詩)의 시형을 완성시키고 있다.
성당(盛唐)은 시문학이 융성한 현종황제의 치세에 해당되며, 당조(唐朝)의 국력이 최고에 달한 시기였는데, 이 시기는 대시인이 속출한 문학의 최 전성기이다. 대표적 시인으로서는 이 시기 전반에 활약한 이백(李白)과 후반에 활약한 두보(杜甫)가 있고, 그밖에도 맹호연(孟浩然)·왕유(王維)·고적(高適)·잠삼(岑參)·왕창령(王昌齡)·왕지환(王之渙) 등의 이름난 시인이 있다.
중당(中唐)의 시인으로는 한유(韓愈)와 백거이(白居易)를 들 수 있다. 한유는 기험(奇險)·호방(豪放)하다는 장대한 미(美)를 사랑하였고, 백거이는 평이하고 찬찬한 표현으로 <장한가(長恨歌)>, <비파행(琵琶行)>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신악부(新樂府)>라는 사회시(社會詩)를 창시(創始)하여 당대를 통해 최다수의 독자를 얻었다. 당나라의 모든 시인들의 전 작품을 수록한 것은 청(淸)나라의 강희제(康熙帝) 칙편(勅編)의 <전당시(全唐詩)>(900권)인데, 거기에는 대강 2,200명의 시 4만 8,000여 수가 실려 있다.
자 태백(太白). 호 청련거사(靑蓮居士). 중국 성당기(盛唐期)의 시인. 중국 촉나라 장밍현(오늘의 쓰촨성) 출생.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 되는 중국 최대의 시인이며, 시선(詩仙)이라 불린다. 1,100여 편의 작품이 현존한다.
여기에 소개하는 이백의 [夜思]와 왕유(王維)의 [九月九日憶山東兄弟]는 중국의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시로, 모든 중국인이 알고 있는 작품이며, 중국에 유학 온 학생들에게도 자랑스럽게 가르치며 암송하게 하고 있다.
夜思(야상)
이 시는 나그네가 고향을 생각하는 글이다. 풍경의 묘사와 서술이 분명하면서도 무한한 정감을 품고 있다. 한 밤 꿈에서 깨어 보니 달빛은 땅에 가득 차고 그리운 고향 생각에 잠을 설쳤다는 六朝의 [民歌]와 유사한 글이다.
참고로 六朝의 [民歌]를 보자.
秋風入窓裏 (추풍입창위) 가을바람이 창안으로 들어오니
당(唐)의 시인.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少陵). 생애의 대부분을 방랑 생활로 지낸 불우한 체험을 바탕으로 인간애가 넘치는 많은 작품을 남겼다.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서 시성(詩聖)이라 불린다.
登高(등고)
風急天高猿嘯哀 (풍급천고원소애) 바람 차고 하늘이 높은데 잔나비 울음 슬프고
싸늘한 가을 바람에 낙엽이 우수수 떨어지는 높은 언덕에 앉아, 늙고 병든 몸으로 슬픔을 한 잔 술로 풀어 보는 작자의 독백을 담은 작품이다. 조락(凋落)의 가을 풍경에 조응(照應)된 인간의 모습이 선명하게 부각되어 있다. 유구함과 대비된 인생의 무상함,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삶의 정서를 느끼게 한다.
중국 문학상 당대(唐代)를 대표하는 대시인 중의 한 사람이다. 청(淸), 왕사신은 왕유를 "시불(詩佛)"이라 일컬어 "시선(詩仙)" 이백과 "시성(詩聖)" 두보와 함께 존립시킨 것으로 보아 왕유가 중국 문학상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짐작할 수 있으며, 수묵의 산수화를 잘 그려 남종 문인화(南宗文人畵)의 시조(始祖)로 불린다.
죽리관(竹里館)
九月九日憶山東兄弟 (구월구일 중양절 날 산동에 있는 형제를 생각함 : 旅愁를 읊은 詩)
獨在異鄕爲異客 (독재이향위이객) 홀로 타향에 나그네 되어
[註] 중국에서는 음력 9월9일에 산수유를 머리에 꽂고 산에 올라 국화주를 마시는 풍습이 있었는데, 고향에서 형제들이 산수유 꽂고 산에 오르는 명절날 왕유 자신만 빠져있음을 느낄 것이라는 기발한 발상으로 그리움을 표현한 유명한 작품임.
[출처] |
'Study > Chine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梅月堂先生詩 (0) | 2009.01.18 |
---|---|
[스크랩] 梅一生寒不賣香 (0) | 2009.01.18 |
[스크랩] 山中-李珥(栗谷1536~1584) (0) | 2009.01.18 |
[스크랩] 偶題[우제] 二首 中 其一 / 金時習 (0) | 2009.01.18 |
[스크랩] 宋時烈의 詩 (0) | 2009.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