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象村 申欽
桐千年 老恒藏曲
梅一生 寒不賣香
月到千 虧餘本質
柳經百 別又新枝
오동은 천년이 지나도 곡조를 간직하고
매화는 일생을 춥게 살아도 향기를 팔지 않는다
달은 천 번을 이지러져도 그 본질이 남아있고
버들은 백번을 꺾여도 새 가지가 올라온다
象村 申欽 1566(명종 21년) ~ 1628(인조 6년)
상촌(象村) 신흠(申欽) 조선 중기의 문신. 송강 정철, 노계 박인로, 고
산 윤선도와 더불어 조선 4대 문장가로 꼽힌다. 본관은 평산, 자는 경
숙(敬淑)이며, 호는 현헌(玄軒).상촌(象忖).현옹 (玄翁).방옹(妨翁).시
호는 문정(文貞) 本寬은 평산(平山)이다. 개성도사 승서(承緖)의 아들
로 태어나 1586년 (선조 19년)문과에 급제하여 예조판서, 좌.우의정
을 거쳐 1627년(인조 5년) 영의정에 이르렀다.
아들 익성(翊聖)이 선조의 딸 정숙(貞淑)옹주에게 장가들어 동양위
(東陽尉)가 되었으며 1613년 (광해군 5년) 영창(永昌)대군의 옥사가
일어났을 때 선조의 유교칠신(遊敎七臣)중의 한 사람으로 관직에서
쫓겨나고 뒤에 춘천에 귀양갔다. 인조반정이 되자 우의정에 오르고
대제학을 겸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