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라 & へ山行
Study/Chinese

七哀詩(칠애시) - 曹植(조식)

by 유리의 세상 2010. 12. 31.

七哀詩(칠애시) - 曹植(조식)

 

明月照高樓(명월조고루) : 밝은 달 높은 누각 비추니

流光正徘徊(유광정배회) : 흐르는 달빛이 누각 주위를 맴돌고 있네.

上有愁思婦(상유수사부) : 누각 위엔 근심스레 생각하는 부인 있는데

悲歎有餘哀(비탄유여애) : 슬프게 탄식하는 소리 끊이질 않네.

借問歎者誰(차문탄자수) : 탄식하는 사람 누구냐 물어보니

自云宕子妻(자운탕자처) :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탕자의 부인이라네.

君行踰十年(군행유십년) : “ 그대 집나간 지 십년이 넘는데

孤妾常獨棲(고첩상독서) : 나 외로운 처 항상 혼자 살고 있다네.

君若淸路塵(군약청로진) : 그대가 빗질로 깨끗해진 길 위의 먼지라면

妾若濁水泥(첩약탁수니) : 이 몸은 흙탕물 속의 진흙과 같다네.

浮沈各異勢(부침각이세) : 원래 같이 있다가 뜨고 가라앉아 각자 형편이 다르니

會合何時諧(회합하시해) : 언제나 함께 만나게 될 것인지?

願爲西南風(원위서남풍) : 바라옵건대 서남풍이라도 되어서

長逝入君懷(장서입군회) : 멀리 날아가서 그대 품속에 들어갔으면 !

君懷良不開(군회양불개) : 그대가 진심으로 품속을 열어주지 않는다면

賤妾當何依(천첩당하의) : 천첩 이 몸은 어디에 의지해야 할까나!”

 

 

曹植(조식:192~232)은 曹操(조조)의 셋째 아들이며, 자는 자건(子建), 조비(曹丕)의 동생으로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전체에서 가장 뛰어난 시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어려서부터 글재주가 뛰어나고 총명해서 아버지 조조가 太子로 삼으려 했는데, 그 때문에

5살 연상의 형 曹丕의 미움을 사게 되었고, 그 曹丕가 황제가 되고  부왕 曹操가 죽은 이후에

변방 제후로 쫓겨나서 핍박 받으며 살게 되었다.

 

曹植은 太子 자리 뿐 만이 아니고, 첫사랑 女人도  형 曹丕에게 빼앗긴 셈이다. 

曹植이 어렸을 적 洛水 가에서 노닐던 중 洛水의 女神 이라는 미녀 宓妃(복비)를 만났는데,

그녀도 文才있는  曹植을 좋아해서 사랑한다는 표시로 베개(枕)를 선물했고

曹植도 그녀를 戀慕하고 있었는데, 그녀는 나중에 황제가 될 형 曹丕의 부인이 되어서

황후(甄后)까지 되었지만, 결국 참언(讒言)에 의해 死藥을 받고 죽었다 한다.

  

曹植의 시풍은 그의 생애와 연관되어서 父王 조조의 총애를 받으며 승승장구 하던 전반기에는

웅장, 호방한 작품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형 曹丕의 핍박 속에 유명한 七步詩를 짓는 등 불우

하게 살던 후반기에는 현실불만과 悲哀 등을 주제로 시를 썼다.

 

위 시는 후반기 작품. 언제 돌아올지 모르고 타향을 떠돌아다니는 탕자 남편을 그리워하며

외롭게 살고 있는 규수의 비애를 노래한 것.

 

七哀 라는 것은 後漢 말엽에 생긴 새로운 樂府詩의 제목으로서 시인들이 널리 쓰고 있었던 것

같다.  같은 제목의 시가 비슷한 시대의 王粲, 阮瑀, 張載 등의 시에서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