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라 & へ山行

Study/Three Kingdoms Of China121

삼국지 연의 삼국지 연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는 중국의 대표적 고전으로, 명나라 때 나관중이 쓴 책이다. 서진(西晉)의 진수가 집필한 《삼국지》와 배송지의 《삼국지주(三國志註)》에 수록된 야사와 잡기를 근거로, 《전상삼국지평화》(全相三國志平話)의 줄거리를 취하여 쓰여진 작품이다. 최초 판본.. 2008. 12. 1.
연의 정사 비교2 연의 정사 비교2 1. 도원결의 정사에서는 없지만 형제처럼 친했다고 합니다. 그에 반면 제갈량,마량이 의형제를 맺었다는것은 실려잇습니다. 2. 17로제후군 연의에서는 거창하게 나오고 이것이 끝나면서 군웅할거가 일어납니다. 하지만 없었구요...동탁을 실제로 공격한 군대는 조조와 손견입니다. 손.. 2008. 12. 1.
삼국지 정사와 연의 삼국지 정사와 연의 삼국지정사는 진나라의 진수가 저술하였다. 나는 우선 삼국지정사 옹호론을 피력하고 싶다. 삼국지정사가 위나라를 중심으로 썼다고 하는데 단지 그 이유가 위서가 촉서나 오서에 비하여 많다는 이유 때문일 것이다. 정사의 저자 진수는 진나라 사람이다. 진나라는 어떤 나라인가.. 2008. 12. 1.
삼국지 강유전 삼국지 강유전 강유는 자가 백약(伯約)이고 천수군(天水郡) 기현(冀懸) 사람이다. 어렸을 때,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와 함께 살았다. 강유는 정씨(鄭氏:정현)의 학문을 좋아했다. 군에서 벼슬하여 상계연(上計연)이되었고, 주에서 초빙하여 종사로 임명했다. 부친 강경(姜경)은 옛날군의 공조였을때, .. 2008. 12. 1.
중국 정사 삼국지의 저자 진수? 중국 정사 삼국지의 저자 진수? 진수(陳壽 233년~297년)는 삼국지의 저자이자 중국 서진 시대의 역사가이다. 자는 승조(承祚)로 파서(巴西)군 안한(安漢)현 사람이다. 일설에는 촉의 장수 진식(陳式)의 후예라고도 하지만 근거가 없다. 조카로 형의 아들인 진부(陳符), 진이(陳莅)와 동생의 아들인 진계(陳.. 2008. 12. 1.
엄안,위연,오호대장군 엄안,위연,오호대장군 위연 자는 문장을쓰고 원래 장사태수 한현의 부하였습니다 황충이 관우와 싸우면서 관우의 머리를 화살로 관통할수있었는데 일부로 빗맞췄다며 황충을 죽이려할때 위연이 한현을죽여 황충과 같이 투항한 장수입니다 투항했을때부터 제갈량에게 신용받지못했죠 위연이 그렇다.. 2008. 12. 1.
삼국시대 지도 삼국시대 지도 . 2008. 12. 1.
● 군국제 ● 군국제 ▶ 한대의 지방정치제도(漢代 地方政致制度) 한대의 지방정치제도(漢代 地方政致制度)는 봉건제와 중앙 집권제의 중간체제인 군국제를 실시하였다. 이는 황제가 거주한 수도 주변 지역을 제외한 여타 지역은 각 제후들에게 영지를 나누어 주어 독립적으로 다스리도록 하는 제도인데, 황제.. 2008. 12. 1.
● 촉한 [蜀漢] ● 촉한 [蜀漢] ▶ 중국 삼국시대에 정립(鼎立) 상태에 있던 한 나라(220∼263). 전한(前漢) 경제(景帝)의 후손 현덕(玄德) 유비(劉備)가 촉(蜀:四川省)에다 창건하였다. 정식 명칭은 한(漢). 계한(季漢)이라고도 하며, 촉(蜀)·촉한으로 통칭한다. 후한(後漢) 말 황건적(黃巾賊)의 대반란이 일어나 후한의 권.. 2008. 12. 1.
손자병법서 손자병법서 손자병법서 1. 시계편 孫子曰 : 兵者, 國之大事. 死生之地, 存亡之道, 不可不察也. 손자왈 : 병자, 국지대사. 사생지지, 존망지도, 불가불찰야. 손자가 말했다 전쟁은 국가의 큰 일이다. 전쟁터는 병사의 생사가 달려있는 곳이며, 나라의 존재와 멸망이 달려있는 길이므로 세심히 관찰해야 한.. 2008. 12. 1.
삼국지 연표 . 삼국지 연표 . 서기 168 한(漢) 건영(建榮) 1 영제(靈帝) 즉위 184 한(漢) 중평(中平) 1 장각(張角) 등에 의해 황건(黃巾)의 난이 일어나 당인을 사면 황보숭(黃甫嵩), 주준(朱儁) 등이 황건의 난을 평정 185 한(漢) 중평(中平) 2 최열(崔烈)이 관(官)을 매수 환관 13명이 황건 평정의 공으로 열후에 봉해짐. 동탁(.. 2008. 12. 1.
백마전투, 관도전투 백마전투, 관도전투 ● 백마전투, 관도전투 ▶ <조조 VS 원소> 관도싸움에서 조조가 대승했다. 병력이 부족한 조조가 대승한 까닭은 원소의 측근 모사로 있던 허유가 조조진영으로 귀순하여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 것이 주효했던 것으로 알려진다. 허유는 귀순하기 직전 원소에게, "조조군은 병력수.. 2008. 12. 1.
관중제압전 관중제압전 ● 관중제압전 ▶ 죽음을 면한 조조의 위기일발 - 관중제압전 조조군 - 조조(曹操), 하후연(夏侯淵), 조인(曹仁), 허저(許猪), 가후(賈珝), 순욱(荀彧), 정비(丁斐), 서황(徐晃), 주령(朱靈) 연합군 - 마초(馬超), 한수(韓遂), 양추(楊秋), 이감(李堪), 성의(成宜), 후선(侯選), 정은(程銀), 장횡(張橫).. 2008. 12. 1.
정군산(定軍山)전투 정군산(定軍山)전투 ● 정군산(定軍山)전투 ▶ 위군을 격퇴시킨 노장, 황충 - 정군산(定軍山)전투 촉군 - 유비(대장), 황충, 장비, 공명(참모), 법정(참모), 조운, 진식 위군 - 조조(대장), 하후연, 장합, 하후상, 양유 촉의 참모 법정(法正)이 <한중 공략론>이라는 것을 말한 적이 있다. "일단은 조조가 .. 2008. 12. 1.
유비 삼형제 데뷔의 땅 - 범수관, 호로관전투 유비 삼형제 데뷔의 땅 - 범수관, 호로관전투 ● 유비 삼형제 데뷔의 땅 - 범수관, 호로관전투 ▶ 범수관 싸움의 배경 반동탁군은 낙양 방어선의 요충인 범수관(氾水關)에 진을 친다. 총 20만, 진영은 2백리나 되었다고 한다. 동탁은 화웅을 대장으로 삼아 이들과 맞서게 하였다. 반동탁군의 선봉 손견은 .. 2008. 12. 1.
정도전투 정도전투 ● 정도전투 ▶ <조조 VS 여포> 조조, 연주탈환에 성공 - 정도 195년에 조조가 여포를 격파했던 장소. 연주 제음군의 치소. 전해에 여포에게 연주를 빼앗긴 조조는 연주각지를 전전했다. 그해 봄, 조조는 정도의 제음태수 오자를 습격해 정도가 함락되기 전에 여포가 구원하러오자 같이 격.. 2008. 12. 1.
삼국시대 연대표 삼국시대 연대표 연대표 년도 내용 168년 1월 한나라 황제로 영제 즉위. 175년 조조, 효렴으로 천거. 유비 노식에게 사사함. 184년 황건적 봉기(태평도의 도주 장각). 유비, 관우 장비 도원결의를 맺다. 189년 4월 영제죽고, 소제즉위. 대장군 하진, 십상시에게 살해되다. 원소, 십상시의 환관을 죽이다. 동탁,.. 2008. 12. 1.
三國志 역사현장 三國志 역사현장 * 이글은 7박8일의 삼국지 역사현장답사에 관한 글입니다. * 출처 - 포브스코리아 영웅의 자취 그대로 르포 / 三國志 역사의 현장 절찬리에 연재 중인 <삼국지경영학>의 필자 최우석 전 삼성경제연구소 부회장과 취재팀은 지난 5월 중경에서 형주와 무한을 거쳐 남경에 이르는 7박8.. 2008. 12. 1.
진창전투 진창전투 성공할 것처럼 보였던 제갈량의 1차북벌은 228년 1월, 기산에서 장합을 맞서 싸웠던 마속의 대패로 실패로 끝났습니다. 제갈량은 일단 한중으로 돌아가서 다음 기회를 노리고 있었는데 당시 옹주방어를 맡고 있던 조진은 학소에게 명하여 장안으로 가는 길목인 진창을 지키게 합니다. - 주요 .. 2008. 12. 1.
합비전투 합비전투 손권은 적벽대전의 승세를몰아 합비를 치기로 결심합니다. 그래서 휘하장수,모사들을 데리고 가는데요 장수: 태사자,송겸,가화,정보,(윽 첫번쨰는 기억이잘;;ㅈㅅ)데리고 가는데요 합비성의 장료와 지루한 공방전이 계속됩니다. 그러다 태사자의 수하 과정이라는 수하가 합비성으로 들어가 .. 2008. 12. 1.
장판파전투 장판파전투 이번에는 연의,정사를 구분해서 올리겠습니다. 정사: 가문을 계승하여 조조에 대해 대항의사가 있었던 유종은 부선(傅巽)의 진언에 따라 조조가 신야에 도달하자 항 복했다. 번성(樊城)에 주둔하던 유비는 샹양(襄陽)으로 향했다. 제갈량(諸葛亮)은 유종을 공격하여 형주를 지배 하자고 진.. 2008. 12. 1.
삼국지 신야전투 삼국지 신야전투 신야전투 -배경: 때는 아마.. 관도대전이후.. 조조에게 왕창 깨지고 유표에게 몸을 의탁한 유비.. 그때 유비에게 첫번째 작전참모 서서가 등용되었습니다. 한편, 조조는 원소라는 거대라이벌을 쓰러뜨리고 영토확장에 눈을돌리는데.. 그 첫번째 타자는 유표였습니다. 그래서 조조는 제.. 2008. 12. 1.
악의 축 10명의 내시 [십상시] 악의 축 10명의 내시 [십상시] 십상시 [ 十常侍 ] 본문 중국 한(漢)나라 영제(靈帝) 때에 환관(宦官) 장양(張讓)•조충(趙忠)•하운(夏惲)•곽승(郭勝)•손장(孫璋)•필남(畢嵐)•율숭(栗嵩)•단규(段珪)•고망(高望)•장공(張恭)•한리(韓悝) 등 10인을 가리킴. 건녕 원년(168) 영제는 어린 나이로 황제가 되.. 2008. 12. 1.
관도 대전 관도 대전 관도 대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찾기 관도대전 (후한 말 삼국시대 초기의 일부) 붉은색이 원소의 세력권, 푸른색이 조조의 세력권이다. 날짜 : 후한 헌제 5년 200년 장소 : 화북의 관도, 백마(현재 하남성 중모) 결과 : 조조의 승리 교전국 조조 원소 지휘관 조조 .. 2008. 12. 1.
적벽대전 [赤壁大戰] 적벽대전 [赤壁大戰] 요약 중국 삼국시대인 208년에 후베이성[湖北省] 자위현[嘉魚縣]의 북동, 양쯔강[揚子江] 남안에 있는 적벽에서 한 전투. 본문 ↑ 삼국시대 / 중국 후한(後漢) 말기에 조조(曹操)가 손권(孫權)과 유비(劉備)의 연합군과 싸웠던 전투이다. 원소(袁紹)를 무찌르고 화북(華北)을 평정한 .. 2008. 12. 1.
후한의 직위체계 및 설명 후한의 직위체계 및 설명 {승상부} 승상(상국) ┃ 녹상서사 ┏━━━╋━━━┓ 태위 사도 사공 {군 부} 대장군 ┃ 태위 ┏━━┳━━┳━━━━╋━━━━┳━━━━━━┓ 태상 광록훈 위위 표사대장군 정사대장군 거기장군 ┃ ┃ ┗━━━━╋━━━━━━┛ 상장군 도위 좌 , 우 장군 ┃ 아문 장.. 2008. 12. 1.
삼국지 직위표입니다(자작) 삼국지 직위표입니다(자작) 관직/무관/ 1.대장군 2.대도독 3.위장군 4.표기장군 5.거기장군 6.정동장군 7.정남장군 8.정서장군 9.정북장군 10.진동장군 11.진남장군 12.진서장군 13.진북장군 14.안동장군 15.안남장군 16.안서장군 17.안북장군 18.좌장군 19.우장군 20.전장군 21.후장군 22.군사장군 23.안국장군 24.파.. 2008. 12. 1.
삼국시대 관직 삼국시대 관직 1품 대장군(大將軍) 상설기관은 아니지만 무관 최고위직. 삼공보다 상위직이다. 독자적으로 장군부(將軍府)를 열어 정치에 관여할 수도 있다. 대장군과 별도로 2품의 중군대장군(中軍大將軍), 하군대장군(下軍大將軍), 진군대장군(鎭軍大將軍), 무군대장군(撫軍大將軍), 남중대장군(南中.. 2008. 12. 1.
성도 성도 ● 성도 ▶ 후한 익주촉군의 중심도시. 익주목이 된 유언에 의해 주도가 됐다. 유언이 죽은 후 익주목을 이은 유장에 대해, 반기를 든 유비는 214년 성도를 포위하고 유장을 항복시켰다. 221년 유비가 제위에 오르자 그 수도가 되어, 263년에 유선이 위에 항복할 때까지 수도였다. 서진에서 익주의 주.. 2008. 12. 1.
영안 영안 ● 영안 ▶ 후한의 익주파군 어복현. 후에 유장이 세운 파동군에 전속. 222년 이릉의 패전 후, 유비는 이곳으로 도망쳐 어복을 영안으로 개명했다. 오측은 일관되게 이곳을 백제성이라고 부르고 있다. 223년, 유비는 이곳에서 병사하고 유선을 제갈량에게 맡겼다. 현재는 봉절현에 해당되는데, 2008.. 2008. 12. 1.